[031 일 ][01 월 31 일 ][365 매일글쓰기 ] 조지 오웰이 본 노동계급의 피동적인 역할 이렇게 저열한 불편과 냉대를 당하고 , 늘 기다려야 하고 , 모든 걸 상대방 편한 대로 해야 하는 것은 노동 계급의 생활에선 당연한 일이다 . 무수히 많은 영향력이 끊임없이 노동자에게 압력을 행사하여 ‘ 피동적인 역할 ’ 로 축소시켜버린다 . 그는 행동하는 게 아니라 무엇에 따라 처신하는 것이다 . 그는 자신이 신비로운 권위의 노예임을 자각하며 , 자신이 이것이나 저것이나 다른 그 무엇을 원해도 ‘ 그들 ’ 이 결코 허용하지 않으리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 언젠가 나는 함께 홉을 따다가 땀 흘려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왜 노조에 가입하지 않느냐고 물어본 일이 있다 . 나는 바로 ‘ 그들 ’ 이 절대 그걸 허용하지 않으리라는 대답을 들었다 . ‘ 그들 ’ 이 대체 누구냐고 물었지만 , 아무도 모르는 것 같았다 . 그러나 ‘ 그들 ’ 이 전능한 존재인 건 분명했다 . - < 위건부두로 가는 길 > 67 페이지 , 조지 오웰 , 한겨례출판 유발 하라리의 < 호모사피엔스 > 의 <5 장 역사상 최대의 사기 > 와 <6 장 피라미드 건설하기 > 를 보면 , 기원전 1 만년경 인간은 방랑생활을 접고 한 곳에 정착했다 . 정착한 인간들은 몇몇 동물과 식물을 키우기 시작했으며 ,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 한 움큼의 씨를 뿌리고 가꾸고 수확하느라 열심히 일했다 . 농업혁명이 일어난 것이다 . 농업혁명으로 여분의 식량이 생기자 , 모든 곳에서 지배자와 엘리트들이 나타났다 . 그들은 농부들이 생산한 잉여식량을 빼앗고 농부들에게는 겨우 먹고 살만한 식량만을 남겨두었다 . 빼앗은 잉여식량으로 지배자와 엘리들은 왕궁과 성채를 짓고 사원을 지었다 . 근대후기까지 인류의 90 퍼센트가 농부였으니 , 역사의 주인공은 농부여야 했다 . 그러나 소수의 지배자와 엘리트들 , 즉 , “ 왕 , 정부 관료 , 병사 , 사제 , 예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