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동양고전인 게시물 표시

[109일][04월18일][365매일글쓰기] 총명과 우둔의 갈림길

[109 일 ][04 월 18 일 ][365 매일글쓰기 ] 총명과 우둔의 갈림길   물건에는 근본 ( 根本 ) 과 지말 ( 枝末 ) 이 있고 일에는 시작과 마침이 있으니 ,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면 ‘ 도 ’ 에 가까울 것이다 . - < 나를 넘어서는 학문 , 대학강의 > 36 페이지 , 전호근 , 동녘   < 대학 > 의 두 번째 장에 나오는 구절은 오래오래 곱씹어 볼만 하다 . 어떤 일을 하다가 혹은 어떤 생각을 하다가 문득문득 떠오르는 좋은 구절이다 . 물론 두 번째 장만 그런 것은 아니다 . < 대학 > 전체가 삶 곳곳에서 보물처럼 빛을 발한다 . 인용한 대목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 “ 物有本末 , 事有終始 , 知所先後 , 則近道矣 . 물유본말 , 사유종시 , 지소선후 , 즉근도의 .” 12 글자에 담겨진 뜻은 무궁무진하기만 하다 . 그 예를 < 삼국지 3 권 > 에 등장하는 원소에서 찾아보자 .   장면 1 마침내 원소는 문관과 무관들을 불러모아놓고 군사를 일으켜 조조를 공격할 일을 의논했다 . 먼저 모사 전풍이 말한다 .   “ 해마다 군사를 일으켜 백성들의 살림은 극도로 피폐하고 창고는 텅 비어 있는데 또다시 대군을 일으키는 것은 옳지 않은 일입니다 . 먼저 사람을 허도로 보내 우리가 공손찬을 꺾었다고 황제께 첩보를 올리십시요 . 만약 첩보가 제대로 올려지지 않거든 , 조조가 임금과 신하 사이를 가로막는다고 상소하십시오 . 그리고 급히 군사를 여양 ( 黎陽 ) 에 주둔시키고 , 다시 하내 ( 河內 ) 에 군선들을 걸집하고 병기를 손질한 뒤 정병으로 하여금 변방을 지키게 한다면 , 3 년 안에 천하대세를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삼국지 2 권 >, 236~238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원소의 선조들은 대대로 한나라에서 높은 관직을 지냈다 . 명문가 출신인 원소의 ...

[098일][04월07일][365매일글쓰기] 인의(仁義)와 이익(利)

[098 일 ][04 월 07 일 ][365 매일글쓰기 ] 인의 ( 仁義 ) 와 이익 ( 利 )   오늘부터 삼국지 2 권을 읽기 시작했다 . 2 권 앞부분의 두 장은 가슴 답답한 내용이 가득했다 . 오늘 읽었던 부분에서는 각자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느라 인의 ( 仁義 ) 를 저버렸기 때문이다 .   인 ( 仁 ) 이 무엇이던가 ? 인간을 짐승이 아닌 인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인 ( 仁 ) 을 무어라 딱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무척 어렵지만 , 대강을 이야기하자면 남을 아끼는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 이기심 ( 利己心 ) 을 버리고 이타심 ( 利他心 ) 을 갖는 것이다 . 의 ( 義 ) 는 무엇인가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 마땅히 해야 할 일이란 자신이 속한 집단 ( 사회 ) 이 잘 운영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이다 . 비록 내가 힘들더라도 혹은 나에게 이득이 되지 않더라도 , 집단에 유익하거나 이득이 된다면 기꺼이 해야 하는 것이 의 ( 義 ) 이다 . 인의 ( 仁義 ) 가 없으면 , 인간은 짐승과 다를 바 없다 . 자기 자신의 편함과 영욕을 위해 서슴없이 남을 해치게 된다 .   동탁이 죽자 동탁의 부하였던 이각과 곽사가 정권을 잡는다 . 이 둘은 서로 더 좋은 위치에 서기 위해 경합하다가 결국 황제 ( 헌제 ) 와 대신들은 각각 볼모로 삼고 서로 싸운다 . 그들은 왜 황제가 필요했던가 ? 황제를 차지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함이었다 . 중국 세계관에서는 황제는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 . 그래서 천자라고도 한다 . 천자는 중원을 통일하고 다스려야 한다 . 그러나 어린 황제는 즉위와 동시에 나라를 다스리는 일보다는 이용당하기만 했다 . 제후들이 인의를 져버리고 이익만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 황제는 있으나 다스림은 없는 한 ( 漢 ) 은 망한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 .   그러면 왜 한 ( 漢 ) 나라의 국운이 쇠했을까 ? 원인은 헌제의 아버지였던 영제와 헌...

[097일][04월06일][365매일글쓰기] 소설과 기록의 차이

[097 일 ][04 월 06 일 ][365 매일글쓰기 ] 소설과 기록의 차이   조조는 연주 ( 兗州 ) 에 머물면서 널리 인재를 불러모았다 . < 중략 > 유엽이 또한 두 사람을 천거한다 . 한 사람은 산양 창읍의 만총이란 사람으로 자는 백녕이요 . 또다른 사람은 무성의 여건이란 사람으로 , 자는 자각이다 . 조조도 그들의 이름을 일찍부터 들어서 알고 있던 터라 곧 그들을 불러들여 군중종사 ( 軍中從事 ) 로 삼았다 . 만총과 여건이 함께 또 한 사람을 천거하니 , 그는 곧 진류 평구 사람 모개 ( 毛玠 ) 로 자는 효선이다 . 조조는 그 역시 초빙하여 종사로 삼았다 . - < 삼국지 1 권 > 232~234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소설 삼국지 ( 원래이름은 삼국지연의 ) 에서는 그저 스쳐가듯이 한 사람의 이름이 거론되었다 . 모개 . 192 년 ( 헌제 초평 3 년 ) 조조는 낙양에 있는 관료의 추천으로 청주 ( 靑州 ) 의 황건적을 토벌하라는 조정의 명을 받는다 . 동탁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계책을 썼던 왕윤마저도 죽임을 당한 후 동탁의 수하인 이각과 곽사가 정권을 잡고 있을 때였다 . 황건적을 성공적으로 토벌한 조조는 연주에 자리 잡았고 , 195 년 10 월에 정식으로 연주목이 되었다 . 연주에 자리를 잡은 조조는 인재를 불러모았다 . 한 사람이 천거되면 다시 또 한 사람을 천거하는 식으로 인재들이 모여들었다 . 이때에 들어온 인재 중 한 사람이 모개이다 .   간웅이라고 알려진 조조는 인복이 있는 사람이기도 했다 . 한 번 그의 사람이 되면 서로 신뢰로 관계를 맺었고 , 자기 사람을 잘 챙겼다 . 보통의 주종관계에서는 사소한 의심으로 서로 관계가 틀어지기도 하는데 , 조조는 이점을 잘 알았고 큰 문제가 아니면 신하가 배신해도 버리지않고 용서했다 . 연주에서 조조는 모개와 긴 시간 대화를 나눈다 . 이때 모개는 조조에게 ‘ 조조판 융중대 ( 隆中對 )’ ...

[095일][04월04일][365매일글쓰기] 그들은 왜 싸웠나

[095 일 ][04 월 04 일 ][365 매일글쓰기 ] 그들은 왜 싸웠나   189 년 동한의 영제가 붕어했다 . 영제에게는 14 세의 유변과 9 세의 유협의 두 아들이 있었다 . 영제의 뒤를 이어 유변이 황제가 되었지만 , 동탁에 의해 폐위된 후 살해된다 . 동탁은 둘째 유협 ( 헌제 ) 을 황제로 추대하고 정권의 최정점에 섰다 . 동탁은 이리와 같은 자였다 . 재미로 사람을 잔혹하게 죽이고 , 공포정치로 정세를 장악했다 . 이에 각지의 제후들이 동탁을 치고자 190 년에 군사를 일으켰다 . 발해 태수 원소를 맹주로 한 17 명의 제후들은 사수관과 호뢰관에서   동탁과 대치하다 승기를 잡게 된다 . 동탁은 불리해지자 낙양을 불태우고 장안 ( 지금의 시안 인근 ) 으로 천도를 해버린다 . 불타버려 폐허가 된 낙양에 입성한 제후들은 곧바로 서로 싸우기 시작한다 . 왜 ?   그무렵 연주 자사 유대는 양식이 떨어져 동군 태수 교모에게 군량미를 빌려달라고 청했다 . 교모가 이를 외면하자 , 유대는 군사를 거느리고 쳐들어가 교모를 죽이고 , 항복하는 군사들을 제 휘하에 넣었다 . - < 삼국지 1 권 > 153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한편 원소는 낙양에서 하내로 돌아와 군사를 주둔시키고 있었는데 , 군량미가 떨어져 곤경에 처했다 . 때마침 이 사실을 안 기주 자사 한복이 군사들을 위한 양식을 보내왔다 . 이에 모사 ( 謀士 ) 봉기가 원소에게 말한다 . “ 천하를 주름잡아야 할 대장부가 남이 보내주는 양식에 의지한다는 게 말이나 될 일입니까 ? 기주는 땅이 넓어 자원도 풍부하고 곡식이 많이 나는 곳인데 , 장군께서는 어째서 그곳을 수중에 넣을 생각을 하지 않으십니까 ?” < 중략 > “ 비밀리에 서신을 보내 , 공손찬에게 함께 기주땅을 치자고 하십시오 . 우리도 군사를 보내 협공하기로 한다면 공손찬은 반드시 군사를 일으킬 것입니다 . 그렇게 되면 어리석은 한복...

[093일][04월02일][365매일글쓰기] 황석영 작가의 삼국지 세트를 사다

[093 일 ][04 월 02 일 ][365 매일글쓰기 ] 황석영 작가의 삼국지 세트를 사다   언제인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 중학생 시절 읽었던 삼국지를 다시 읽어보려 했다 . 고향집에서 중학생 때 읽었던 삼국지를 찾아냈지만 , 책은 회생 불가능할 정도로 삭아있었다 . 검색을 통해 이리저리 알아 본 결과 , 황석영 작가의 삼국지가 읽을만 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 몇 달에 걸쳐 중고서점에서 10 권을 다 사모았다 . 이제 읽기만 하면 되었다 . 그러나 읽어야 할 책들이 쌓여 있었고 , 내용을 아는 삼국지는 매번 우선 순위에서 밀려버렸다 . 그리하여 삼국지 10 권은 책장에 꽂힌 채로 방치되었다 .   나는 한편으로 올바르게 고전의 정신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새 사라져버린 동아시아 사람들의 세계관이라든가 인간관을 되새기고 싶다는 생각도 했다 . 일방적인 생활방법의 세계화로 자기 문명의 뿌리와 대안들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 이러한 교양과 세계관이야말로 근대 이래 우리가 가장 소홀히했던 부분이며 , 동양은 이슬람을 포함해서 아직도 도처에서 사회적 실험의 와중에 있지 않은가 . 나는 이런 마음가짐으로 서두르지 않고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번역을 진행했다 . 출판사 측에서도 속으로는 애를 태웠겠지만 ‘ 믿어준다 ’ 는 태도를 유지하면서 참을성 있게 기다려주었다 . 그렇게 7 년의 세월이 흘러서야 드디어 책이 나오게 된 것이다 . – < 삼국지 1 권 > 13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4 월 1 일부터 시작한 < 삼국지 함께 읽기 > 덕분에 어제 하루 1 권의 서문과 1 장을 읽었다 . 황석영 작가는 서문에서 삼국지에 대한 애정과 함께 번역 과정을 기술을 했다 . 서문에서 내가 중학교 때 읽었던 삼국지는 요시까와 에이지 ( 吉川英治 ) 라는 일본 작가의 삼국지를 번역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 나중에 알았지만 이것은 일제시대 삼국지의 대종을 이...

[053일][02월22일][365매일글쓰기] 돈이 없어서 괴로운가 마음이 비어서 괴로운가

[053 일 ][02 월 22 일 ][365 매일글쓰기 ] 돈이 없어서 괴로운가 마음이 비어서 괴로운가 그리고 그가 벌이고 있는 돈과의 전쟁의 본질을 이해하게 된 시점은 그의 급료가 일주일에 2 파운드 ( 약 20 만원 ) 까지 내려가 더 이상 돈을 벌겠다는 기대를 비로소 포기했을 때인 바로 지금이었다 . 그런데 빌어먹게도 문제는 포기에 따른 은근한 만족감이 결코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일주일에 2 파운드로 산다는 것은 영웅적 행위가 아니고 초라한 습관이 되는 것이다 . 실패는 성공만큼이나 위대한 사기다 . < 중략 > 돈의 결핍으로 피해를 입는 것은 머리와 영혼이다 . 정신의 죽음 , 정신적 불결함 – 이런 것들은 수입이 어느 수준 아래로 떨어질 때 불가피하게 우리에게 닥치게 된다 . 신념 , 희망 , 돈 , 이 세 가지 중에 성인만이 마지막 것 없이도 앞의 두 개를 가질 수 있다 . – < 엽란을 날려라 > 3 장 , 105~106 페이지 , 조지 오웰 , 지식을만드는지식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한다는 것은 자신이 가진 능력을 파는 것이다 . 그런데 우리들 대부분은 아주 어릴 적부터 듣거나 읽는 동화로 인해 돈을 향한 욕망은 나쁜 것이라 배운다 . < 흥부와 놀부 > 에서 흥부는 가난하지만 선량하고 놀부는 부자이지만 심보가 고약한 나쁜 X 이다 . < 장화홍련전 > 에서는 계모가 돈을 더 차지하기 위해 장화와 홍련을 죽게 한다 . 돈을 악을 부른다 . 그러므로 자신의 능력을 돈과 바꾸는 것 또한 악에 물드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 그런 이유로 돈을 적게 벌더라도 좀 더 깨끗한 일 , 좀 더 선한 일을 찾게 된다 . 이런 사람들은 직업의 세계에서 몇 년을 머무르게 되면 , 자신이 판단 착오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다 . 현대 사회에서는 초기에 설정된 연봉을 상향 조정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상향조정해야 할 뚜렷한 이유가 있어야만 하는데...

[002일][01월02일][365매일글쓰기] 지혜로움

[002 일 ][01 월 02 일 ][365매 일글쓰기 ] 지혜로움 어제 우연히 토론회를 봤다 . 주제는 < 왜 언론은 불신의 대상이 됐나 ?> 였다 . 네 명의 패널이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을 했다 . 그 토론을 보고 있자니 , 순 ( 舜 ) 임금이 저절로 떠올랐다 . < 중용 ( 中庸 )> 6 장에서 공자 ( 孔子 ) 는 순 ( 舜 ) 임금이야말로 매우 지혜로운 분이라고 극찬했다 . 왜 그랬을까 ? 동양고전을 읽다보면 순 ( 舜 ) 임금이 자주 등장한다 . 요순 ( 堯舜 ) 시대의 그 순임금이다 . 태평성대라고 알려진 요순시대를 유학자들이 두고두고 그리워하는 이유는 요임금이 왕위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효자로 이름난 순에게 왕위를 선양 ( 禪讓 , 임금이 그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줌 ) 했고 , 순임금 또한 그러했기 때문이다 . 순임금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된 이는 치수 ( 治水 ) 사업을 완수한 우 ( 禹 ) 였다 . 우임금부터는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 나라 이름은 하 ( 夏 ) 였다 . 순 ( 舜 ) 임금은 대효 ( 大孝 ) 로 유명하다 .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9 년 06 월 10 일에 쓴 글을 이 글 아래에 덧붙이는 것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 여기에서는 순임금이 왜 지혜로운 사람인가에 대해 논해보자 . 첫째로 순 ( 舜 ) 임금은 “ 무엇이든지 묻기를 좋아하셨다 好問 ” 고 한다 . 우리는 언제 질문하는가 ? 대부분의 경우 , 모르기 때문에 질문한다 . 아이들이 어른에게 “ 하늘은 왜 파란가요 ?” 라고 묻는 것처럼 말이다 . 질문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 몇 년 전 동아리에서 논어 ( 論語 ) 를 공부할 때 , 학우 ( 學友 ) 들은 인 ( 仁 ) 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질문했다 . 공자께서는 인 ( 仁 ) 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지 않고 인 ( 仁 ) 을 이루는 방식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 그 방식이 질문마다 다 달랐다 . 인색한 사람에게는 좀 더 베풀도록하고 , ...

[122일][12월31일] 극기(克己)

[122 일 ][12 월 31 일 ][ 백일글쓰기 2] 극기 ( 克己 ) 극 ( 克 ) 은 머리 ( 口 ) 에 투구 ( 十 ) 를 쓴 사람 ( 儿 ) 이 그 무게를 이겨내다 또는 어깨에 무거운 짐을 메고 오래동안 ( 古 ) 견뎌내는 사람 ( 儿 ) 의 모양을 딴 글자로서 ‘ 이기다 ’, ‘ 매다 ’ 의 뜻을 가진다 . 기 ( 己 ) 는 사람의 척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로 ‘ 사람의 몸 ’ 혹은 ‘ 자기 ’ 를 뜻한다 . 그러므로 극기는 ‘ 자기를 이겨낸다 ’ 로 풀이될 수 있다 . 그런데 뭘 이겨내는 것일까 ? 내 안의 욕심 , 휘몰아 치는 감정을 이겨내야 한다 . *) 한자 풀이는 한자신문의 설문해자 칼럼을 참조 사람의 정신은 몸 안에 갇혀 있다 . 그러다 보니 자꾸만 자기 위주로 생각하게 된다 . 자기 자신의 관점에 얽매이게 되면 치우치게 된다 . 마음이 치우치면 감정이 격해지기 마련이다 . 지나치게 화를 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게 되면 몸 또한 감정에 삼켜지게 된다 . 예를 들어 , 극도로 화가 나면 몸을 부들부들 떨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 그렇다면 감정이 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 지점까지만 화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고 있다면 감정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 그래서 고대부터 많은 사람들이 ( 예를 들어 ) 화가 날 상황일 때는 화를 내지만 딱 그 상황에 알맞은 정도로만 화를 내기 위한 공부를 했고 하고 있다 . 나는 이것이 바로 극기라고 생각한다 .   홀로 책을 읽으며 공부할 때에는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아 있어서 편안하다 . 그러나 집 안이든 집 밖이든 사람들과 어울리는 순간부터 사건 ( 일 ) 들이 발생하게 된다 . 어떤 사건은 아무런 감정도 일으키지 않는다 . 또 어떤 사건은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 갈등을 일으킨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의 감정이 소용돌이치게 된다 . 이때가 공부의 최적 시기이며 그 사건이 공부의 최적 장소이다 . 갈등 상황에서의 극기가 진짜 공부이다 . ( 육징이 ) ...

[108일][12월17일] 모범을 보여도 따라오지 않으면 벌로써 다스린다, 서합괘

[108 일 ][12 월 17 일 ][ 백일글쓰기 2] 모범을 보여도 따라오지 않으면 벌로써 다스린다 , 서합괘 9 월 21 일 , 21 일차에 < 보다 , 보게 하다 ( 觀 )> 는 글을 올렸었다 . 이 글은 주역의 관괘 ( 觀卦 ) 를 읽고 쓴 글이다 . 어제는 관괘 다음에 오는 서합괘 ( 噬嗑卦 ) 를 공부했다 . 이 괘는 한자부터 기를 팍 죽인다 . 처음 보는 어려운 한자이다 . 이해가 잘 안되어서 120 분짜리 인터넷 강의를 들었다 . 강사조차도 잘 해석이 안된다며 , 강의 중에 이런 뜻이지 않겠냐고 한다 . 책도 모호하게 기술한 부분이 있는데 저자도 잘 이해가 안되었나 보다 . 주역 ( 周易 ) 은 주나라의 시조인 문왕 ( 文王 , 기원전 1152 년 ~1056 년 ) 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주나라는 기원전 1046 년에서 기원전 256 년까지 유지되었던 , 봉건국가였다 . 그런데 문왕은 주나라가 건국되기 전에 세상을 떠났으며 , 그의 아들인 무왕이 은나라 마지막 왕인 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주나라를 세웠다 . 그러니 주역은 기원전 1050 년보다 이전에 만들어졌을 확률이 크다 . 무려 3 천년 전에 지어진 책이니 , 그 당시의 사회문화를 모르는 현대인인 우리가 주역을 해석하는 일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다 . 그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주는 괘가 바로 서합괘이다 . 서합괘의 이름부터 살펴보자 . 서 ( 噬 ) 는 치아로 물건을 무는 것이고 합 ( 嗑 ) 은 입을 다무는 것이다 . 서합은 위아래 턱을 맞물려서 입안의 음식을 씹는다는 뜻이라고 한다 . 보다 혹은 보이다는 뜻의 관괘 다음에 오는 괘에서 갑자기 왠 음식 먹는 이야기인가 싶었다 . 전통문화연구회의 강좌 중 전호근 교수님이 아주 오래 전에 했던 강의가 있었다 . 화질도 음질도 구린 인강을 본 결과는 이렇다 . 이 괘가 서합괘가 된 까닭은 괘의 모양 때문이라고 한다 . 맨 아래와 맨 위 효 ( 爻 ) 만 양이고 중간의 4 개 효가 음인 괘가 있는데 ,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