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일 ][04 월 18 일 ][365 매일글쓰기 ] 총명과 우둔의 갈림길 물건에는 근본 ( 根本 ) 과 지말 ( 枝末 ) 이 있고 일에는 시작과 마침이 있으니 ,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면 ‘ 도 ’ 에 가까울 것이다 . - < 나를 넘어서는 학문 , 대학강의 > 36 페이지 , 전호근 , 동녘 < 대학 > 의 두 번째 장에 나오는 구절은 오래오래 곱씹어 볼만 하다 . 어떤 일을 하다가 혹은 어떤 생각을 하다가 문득문득 떠오르는 좋은 구절이다 . 물론 두 번째 장만 그런 것은 아니다 . < 대학 > 전체가 삶 곳곳에서 보물처럼 빛을 발한다 . 인용한 대목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 “ 物有本末 , 事有終始 , 知所先後 , 則近道矣 . 물유본말 , 사유종시 , 지소선후 , 즉근도의 .” 12 글자에 담겨진 뜻은 무궁무진하기만 하다 . 그 예를 < 삼국지 3 권 > 에 등장하는 원소에서 찾아보자 . 장면 1 마침내 원소는 문관과 무관들을 불러모아놓고 군사를 일으켜 조조를 공격할 일을 의논했다 . 먼저 모사 전풍이 말한다 . “ 해마다 군사를 일으켜 백성들의 살림은 극도로 피폐하고 창고는 텅 비어 있는데 또다시 대군을 일으키는 것은 옳지 않은 일입니다 . 먼저 사람을 허도로 보내 우리가 공손찬을 꺾었다고 황제께 첩보를 올리십시요 . 만약 첩보가 제대로 올려지지 않거든 , 조조가 임금과 신하 사이를 가로막는다고 상소하십시오 . 그리고 급히 군사를 여양 ( 黎陽 ) 에 주둔시키고 , 다시 하내 ( 河內 ) 에 군선들을 걸집하고 병기를 손질한 뒤 정병으로 하여금 변방을 지키게 한다면 , 3 년 안에 천하대세를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삼국지 2 권 >, 236~238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원소의 선조들은 대대로 한나라에서 높은 관직을 지냈다 . 명문가 출신인 원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