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일 ][04 월 30 일 ][365 매일글쓰기 ] 공명 ( 共鳴 ) 영화 < 블레이드 러너 > 에서 복제인간 로이 배티 ( 룻거 하우어 ) 가 죽음을 맞는 장면은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생생하다 . 삶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던 로이 배티가 쏟아지는 빗속에 주저앉아 찬란했던 자신의 인생을 말한다 . 그리고 “All those moments will be lost in time, like tears in rain.” 을 끝으로 숨을 거둔다 . 삶과 죽음을 가장 잘 표현한 장면이라 할 수 있겠다 . 영화 < 매트릭스 > 에서는 가상 세계에서 막 깨어난 네오가 거대한 인간 건전지 탑을 경악에 차서 바라본다 . 이 장면은 매 순간 나의 삶을 의심하게 만들고는 한다 . 나 또한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 나는 지금 매트릭스 안에 있는건가 ? 수십년이 지났어도 여전히 똑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는 한다 . 영화 < 가타카 > 에서는 DNA 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 점이나 사주가 인생을 100% 설명하거나 맞추지 못하는 것처럼 DNA 도 100% 현실을 대변할 수 없지만 , 영화 속의 사람들은 DNA 를 자격증처럼 사용한다 . 유전자 조작을 통해 태어난 우수한 DNA 를 가진 사람은 사회의 상위계층을 차지하고 자연수정을 통해 태어난 보통의 DNA 를 가진 사람은 사회의 최하층으로 전락한다 . ( 어 ? 이거 학벌사회이지 않나 ?) 대다수가 DNA 의 지배에 순종할 때 , 주인공은 인간의 의지가 DNA 를 뛰어넘을 수 있음 증명한다 . 물론 남들 모르게 . 그리고는 더이상 DNA 자격증이 없는 세계로 떠나 버린다 . 아침마다 직장 출입구에서 한 방울의 피로 자신임을 증명하던 장면은 뉴스에서 계급사회의 일면을 발견할 때마다 떠오른다 . 영화 < 반지의 제왕 > 의 마지막 편에서 프로도가 절대 반지를 출렁이는 용암에 빠뜨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