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 일 ][02 월 29 일 ][365 매일글쓰기 ] 자신의 책을 쓰레기통에 버리라는 작가 김선욱 교수님의 < 한나 아렌트의 생각 > 을 드디어 완독했다 . 이 책은 1 월 25 일에 구입하여 읽기 시작했으니까 , 거의 한 달이 걸린 셈이다 . 다른 책을 읽느라 오랫동안 묵혀두어서 그런지 책의 후반부는 아주 구수했다 . 책의 끝부분에 작가는 다음과 같은 부탁을 했다 . 지금까지 이 책을 통해 설명한 것은 아렌트 사상의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 심지어 내 졸렬한 해석이 많이 개입되어 있다 . 그러므로 이제 독자 여러분은 이 책을 쓰레기통에 버리시고 , 아렌트의 저서와 함께 새로운 여행을 떠나보시길 권한다 . 이곳까지 이르게 한 사다리에 불과한 이 책이 이제는 필요 없을 것이다 . – 184~185 페이지 그래서 나는 작가의 조언에 따라 아이에게 이 문구를 읽어주고 쓰레기통에 버리는 퍼포먼스를 했다 . 지켜보던 아이가 황당해했지만 , 무척 즐거웠다 . 일종의 책거리인 셈이다 . 오해는 마시라 . 진짜로 쓰레기통에 넣은 것은 아니니까 . 그저 아이에게 읽어보라는 듯이 던져주었을 뿐이다 . 이 책은 어려운 개념을 쉬운 언어로 풀어 쓴 책이다 .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철학 개념을 현대의 기준에 맞게 우리의 생활을 예로 들어 설명해주었다 . 이 책에서 가장 충격을 받은 것은 ‘ 악의 평범성 ’ 이었다 . 평범성의 영어 banality 를 번역한 것인데 , banality 의 사전적 의미는 a trite or obvious remark 이다 . 사전의 풀이에 더 어려운 단어가 있었다 . Trite 는 repeated too often 으로 , 매주 자주 반복되는 일이다 . Obvious remark 는 너무 뻔한 말로 해석될 수 있겠다 . 그래서 한영사전에서는 진부 , 평범한 말 , 평범으로 풀이한다 . 김석욱교수는 평범성으로 번역했지만 , 상황에 따라 진부성으로 받아들여도 된다는 말을 덧붙였다 . 나치 전범인 아이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