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 일 ][03 월 30 일 ][365 매일글쓰기 ] 한나 아렌트 전작 읽기 한나 아렌트 . 이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 < 조지 오웰 전작 읽기 > 단톡방에서 이 이름이 등장했을 때가 떠오른다 . 조지 오웰의 글 속에서 20 세기초와 21 세기초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서는 막막함을 느끼던 차였다 . 게다가 조지 오웰이 주장하는 사회민주주의에 공감하지 못해서 더 막막했다 . 21 세기의 지구는 이미 자본주의가 두텁고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데 , 어떻게 집산제 , 배급제와 같은 자본주의와 정반대의 개념을 받아들이게 할 수 있을까 ? 당장 내 자신조차도 설득되지 않았다 . 나는 자본주의 , 민주주의 , 자유주의 , 사회주의 , 민족주의 , 전체주의 , 공산주의 등을 알고는 있다 . 그러나 이름만 알 뿐 이들이 무엇인지는 잘 모른다 . 그저 학교에서 교육받은 지식 수준밖에 없다 . 심지어 나는 한국 사회가 이 들 중 몇 개를 포함하고 있는지조차 모르겠다 . 내가 느끼기에는 한국 사회를 대표하는 것은 자본주의 , 민주주의 , 자유 ( 시장 ) 주의 , 민족주의 그리고 때때로 전체주의이지 않을까 싶다 . 어쩌면 내가 모르는 또 다른 00 주의가 있을지도 모른다 . 한국 사회의 속성을 더 알고 싶었다 . 조지 오웰이 말하는 20 세기초의 사회와 현재의 사회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를 명확히 분별하고 싶었지만 , 내게는 실마리 몇 개만 있을 뿐이었다 . 이것은 나의 무지 때문이다 . 더 잘 이해하려면 더 탐구해야만 한다 . 그런 이유 때문에 한나 아렌트에게 저절로 마음이 갔다 . 물론 계기는 단톡방에 언급된 몇 권의 입문서였다 . 입문서를 통해 20 세중반의 정치철학의 맛을 잠깐 보았을 뿐인데도 한국 사회를 좀 더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 한나 아렌트를 탐구할 다음 작가로 정하고 그녀의 정치철학세트를 샀다 . 한나 아렌트의 글의 쉽지 않았다 . 그녀는 나의 무지를 팍팍 밟아 사정없이 터트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