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주역인 게시물 표시

[002일][01월02일][365매일글쓰기] 지혜로움

[002 일 ][01 월 02 일 ][365매 일글쓰기 ] 지혜로움 어제 우연히 토론회를 봤다 . 주제는 < 왜 언론은 불신의 대상이 됐나 ?> 였다 . 네 명의 패널이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을 했다 . 그 토론을 보고 있자니 , 순 ( 舜 ) 임금이 저절로 떠올랐다 . < 중용 ( 中庸 )> 6 장에서 공자 ( 孔子 ) 는 순 ( 舜 ) 임금이야말로 매우 지혜로운 분이라고 극찬했다 . 왜 그랬을까 ? 동양고전을 읽다보면 순 ( 舜 ) 임금이 자주 등장한다 . 요순 ( 堯舜 ) 시대의 그 순임금이다 . 태평성대라고 알려진 요순시대를 유학자들이 두고두고 그리워하는 이유는 요임금이 왕위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효자로 이름난 순에게 왕위를 선양 ( 禪讓 , 임금이 그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줌 ) 했고 , 순임금 또한 그러했기 때문이다 . 순임금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된 이는 치수 ( 治水 ) 사업을 완수한 우 ( 禹 ) 였다 . 우임금부터는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 나라 이름은 하 ( 夏 ) 였다 . 순 ( 舜 ) 임금은 대효 ( 大孝 ) 로 유명하다 .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9 년 06 월 10 일에 쓴 글을 이 글 아래에 덧붙이는 것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 여기에서는 순임금이 왜 지혜로운 사람인가에 대해 논해보자 . 첫째로 순 ( 舜 ) 임금은 “ 무엇이든지 묻기를 좋아하셨다 好問 ” 고 한다 . 우리는 언제 질문하는가 ? 대부분의 경우 , 모르기 때문에 질문한다 . 아이들이 어른에게 “ 하늘은 왜 파란가요 ?” 라고 묻는 것처럼 말이다 . 질문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 몇 년 전 동아리에서 논어 ( 論語 ) 를 공부할 때 , 학우 ( 學友 ) 들은 인 ( 仁 ) 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질문했다 . 공자께서는 인 ( 仁 ) 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지 않고 인 ( 仁 ) 을 이루는 방식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 그 방식이 질문마다 다 달랐다 . 인색한 사람에게는 좀 더 베풀도록하고 , ...

[108일][12월17일] 모범을 보여도 따라오지 않으면 벌로써 다스린다, 서합괘

[108 일 ][12 월 17 일 ][ 백일글쓰기 2] 모범을 보여도 따라오지 않으면 벌로써 다스린다 , 서합괘 9 월 21 일 , 21 일차에 < 보다 , 보게 하다 ( 觀 )> 는 글을 올렸었다 . 이 글은 주역의 관괘 ( 觀卦 ) 를 읽고 쓴 글이다 . 어제는 관괘 다음에 오는 서합괘 ( 噬嗑卦 ) 를 공부했다 . 이 괘는 한자부터 기를 팍 죽인다 . 처음 보는 어려운 한자이다 . 이해가 잘 안되어서 120 분짜리 인터넷 강의를 들었다 . 강사조차도 잘 해석이 안된다며 , 강의 중에 이런 뜻이지 않겠냐고 한다 . 책도 모호하게 기술한 부분이 있는데 저자도 잘 이해가 안되었나 보다 . 주역 ( 周易 ) 은 주나라의 시조인 문왕 ( 文王 , 기원전 1152 년 ~1056 년 ) 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 주나라는 기원전 1046 년에서 기원전 256 년까지 유지되었던 , 봉건국가였다 . 그런데 문왕은 주나라가 건국되기 전에 세상을 떠났으며 , 그의 아들인 무왕이 은나라 마지막 왕인 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주나라를 세웠다 . 그러니 주역은 기원전 1050 년보다 이전에 만들어졌을 확률이 크다 . 무려 3 천년 전에 지어진 책이니 , 그 당시의 사회문화를 모르는 현대인인 우리가 주역을 해석하는 일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다 . 그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주는 괘가 바로 서합괘이다 . 서합괘의 이름부터 살펴보자 . 서 ( 噬 ) 는 치아로 물건을 무는 것이고 합 ( 嗑 ) 은 입을 다무는 것이다 . 서합은 위아래 턱을 맞물려서 입안의 음식을 씹는다는 뜻이라고 한다 . 보다 혹은 보이다는 뜻의 관괘 다음에 오는 괘에서 갑자기 왠 음식 먹는 이야기인가 싶었다 . 전통문화연구회의 강좌 중 전호근 교수님이 아주 오래 전에 했던 강의가 있었다 . 화질도 음질도 구린 인강을 본 결과는 이렇다 . 이 괘가 서합괘가 된 까닭은 괘의 모양 때문이라고 한다 . 맨 아래와 맨 위 효 ( 爻 ) 만 양이고 중간의 4 개 효가 음인 괘가 있는데 , 이름...

[045일][10월15일] 기다림2

[045 일 ][10 월 15 일 ][ 백일글쓰기 2] 기다림 2 요즘은 매일매일이 놀라움의 연속이다 . 어떤 영화보다도 더 영화 같고 , 어떤 드라마보다도 더 드라마 같다 . 현실이 이처럼 굴곡 많고 빠르게 흘러가니 , 정보를 받아들이고 분석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쏟게 된다 . 그래서 요즘은 하루하루가 화살같이 지나간다 . 10 월 9 일 나는 < 기다림 > 에 대한 글을 썼다 . 일의 진행으로 보아 , 순리대로 “ 상대방과 쓸데없이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고 , 흐름에 순응한다 ” 면 , 이 기다림도 머지 않아 끝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 흐름에 순응한다 함은 자기고집을 부리지 않고 자만에 빠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

[39일][10월09일] 기다림

[39 일 ][10 월 09 일 ][ 백일글쓰기 2] 기다림 주역은 자연과 인생의 변화를 기술한 책이다 . 예를 들면 기다릴 때는 저 멀리서부터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기다리는데 , 각 기다림에도 방법이 있다 . 멀리 있을 때는 무리해서 나아가지 않는다 . 중간 즈음에서의 기다릴 때에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 . 상대방으로부터 공격을 받아서 손실이 있더라도 냉정함을 잃지 않고 조급해하지 말아야 한다 . 가까이 다가섰을 때에는 상대방이 나에게 항복할 것이지만 , 그렇다고 자만해져서는 안된다 . 아직도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조심하며 정도를 지켜야 한다 . 그리고 기다림이 끝났을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 목적을 달성했다고 마음을 놓고 방만하게 즐겨서는 안된다 . 항상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 이런 이야기를 읽고 나와 주변의 생활에 대입해보는 즐거움이 컸다 . 주역으로 지적 유희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 - [017 일 ][09 월 17 일 ] 재미있는 주역강의를 나에게 상으로 주다 中에서

[026일][09월26일] 관아생(觀我生), 자기 자신을 살핀다

[026 일 ][09 월 26 일 ][ 백일글쓰기 2] 관아생 ( 觀我生 ), 자기 자신을 살핀다 오늘은 관괘 ( 觀卦 ) 의 여섯 효 ( 爻 ) 중의 한 개를 뽑아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효는 아래에서 3 번째에 위치한 음효 ( 陰爻 ) 이다 . 관괘 ( 觀卦 ) 모든 괘 ( 掛 ) 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는 5 번째이다 . 관괘 ( 觀卦 ) 에서는 5 번째 자리가 군자 , 즉 왕이다 . 5 번째 자리에서 멀수록 힘이 약하거나 어리다 . 오늘 이야기할 3 번째 효 ( 爻 ) 는 군자 ( 왕 ) 에 비교적 가까이 있지만 , 음양의 법칙에 따라 자신을 도와줄 이웃이 없다 . 위아래가 모두 음인 까닭이다 . 자신의 짝인 6 번째 효는 양이지만 , 멀리 떨어져 있다 . 그래도 다행인 것은 군자 ( 왕 ) 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자신의 짝인 6 번째 효가 양이어서 , 군자 ( 왕 ) 을 본받아 마음가짐이 곧고 바르다는 점이다 . 따라서 3 번째 효는 홀로 외로이 자기 자신을 살피고 어떤 행동을 할지 판단해야 한다 .

[021일][09월21일] 보다, 보게 하다(觀)

[021 일 ][09 월 21 일 ][ 백일글쓰기 2] 보다 , 보게 하다 ( 觀 ) # 연금술사 # 백일글쓰기 # 숭례문학당 # 주역 # 관괘 # 맹자 # 진심 孟子曰 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 공자께서 동산에 올라 내려다보시고는 노나라가 작다고 하셨고 , 태산에 올라 내려다보시고는 천하가가 작다고 하셨다 . 故觀於海者 難爲水 遊於聖人之門者 難爲言 그러므로 바다를 본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려워하고 , 성인의 문하에서 배운 사람은 학문을 말하기 어려워한다 . 觀水有術 必觀其瀾 日月有明 容光必照焉 물을 보는 데에도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결을 봐야 하고 , 해와 달의 밝음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곳은 반드시 비춘다 . 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君子之志於道也 不成章不達 흐르는 물이라는 것은 웅덩이를 다 채우지 않으면 나아가지 않으니 , 군자가 도에 뜻을 두게 되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드러내지 않는다 . - < 맹자 > 진심 상 24

[017일][09월17일] 재미있는 주역강의를 나에게 상으로 주다

[017 일 ][09 월 17 일 ][ 백일글쓰기 2] 재미있는 주역강의를 나에게 상으로 주다 # 연금술사 # 백일글쓰기 # 숭례문학당 # 주역 # 전통문화연구회 # 사이버서원 조선 사대부들은 사서삼경은 물론 유학과 관련된 다양한 책을 읽었다 . 당시에는 책이 비쌌기 때문에 , 어떤 사람은 책을 빌려서 공책에 필사하고 어떤 사람은 몽땅 외웠다고 한다 . 연암이 아끼는 벗 , 형암 이덕무는 천 권이 넘게 책을 읽었는데 , 그의 식견이 높아서 고관대작들도 책을 구하면 형암에게 우선 보내서 오탈자 체크를 했다고 한다 . 형암도 이에 대한 글을 남겼는데 , 그의 글에 따르면 책을 읽을 때의 정갈한 마음가짐으로 책장을 넘길 것과 돌려줄 때는 반드시 오탈자를 작은 종이에 적어 해당 페이지에 끼워서 보내야한다고 했다 . ( 뒷 이야기 : 하지만 형암은 서얼이어서 과거시험은 볼 수는 있었으나 , 등용될 수 없는 처지였다 . 그래도 형암은 한 겨울에 바람이 들이치는 작은 집에서 책을 읽으며 겨우 얼어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고 회고했다 . 서얼도 양반이어서 벼슬살이 이외의 직업은 가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 원래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서얼 차별이 없었다 . 조선 초 서얼인 조광조의 개혁이 실패한 이후 , 조선에서는 서얼은 철저히 차별받았다 . 연암의 또 다른 벗 초정 박제가도 서얼 출신이었다 . 그는 어렸을 때부터 남다른 재기를 보였으나 , 그의 아버지가 서얼인 박제가에게 자신의 처지를 잊지 않도록 이름을 제가 ( 齊家 ) 로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