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 일 ][01 월 02 일 ][365매 일글쓰기 ] 지혜로움 어제 우연히 토론회를 봤다 . 주제는 < 왜 언론은 불신의 대상이 됐나 ?> 였다 . 네 명의 패널이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을 했다 . 그 토론을 보고 있자니 , 순 ( 舜 ) 임금이 저절로 떠올랐다 . < 중용 ( 中庸 )> 6 장에서 공자 ( 孔子 ) 는 순 ( 舜 ) 임금이야말로 매우 지혜로운 분이라고 극찬했다 . 왜 그랬을까 ? 동양고전을 읽다보면 순 ( 舜 ) 임금이 자주 등장한다 . 요순 ( 堯舜 ) 시대의 그 순임금이다 . 태평성대라고 알려진 요순시대를 유학자들이 두고두고 그리워하는 이유는 요임금이 왕위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효자로 이름난 순에게 왕위를 선양 ( 禪讓 , 임금이 그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줌 ) 했고 , 순임금 또한 그러했기 때문이다 . 순임금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된 이는 치수 ( 治水 ) 사업을 완수한 우 ( 禹 ) 였다 . 우임금부터는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 나라 이름은 하 ( 夏 ) 였다 . 순 ( 舜 ) 임금은 대효 ( 大孝 ) 로 유명하다 .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9 년 06 월 10 일에 쓴 글을 이 글 아래에 덧붙이는 것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 여기에서는 순임금이 왜 지혜로운 사람인가에 대해 논해보자 . 첫째로 순 ( 舜 ) 임금은 “ 무엇이든지 묻기를 좋아하셨다 好問 ” 고 한다 . 우리는 언제 질문하는가 ? 대부분의 경우 , 모르기 때문에 질문한다 . 아이들이 어른에게 “ 하늘은 왜 파란가요 ?” 라고 묻는 것처럼 말이다 . 질문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 몇 년 전 동아리에서 논어 ( 論語 ) 를 공부할 때 , 학우 ( 學友 ) 들은 인 ( 仁 ) 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질문했다 . 공자께서는 인 ( 仁 ) 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지 않고 인 ( 仁 ) 을 이루는 방식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 그 방식이 질문마다 다 달랐다 . 인색한 사람에게는 좀 더 베풀도록하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