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삼국지인 게시물 표시

[129일][05월08일][365매일글쓰기] 인재

[129 일 ][05 월 08 일 ][365 매일글쓰기 ] 인재   어느 회사의 한 부문이 증발한 적이 있다 . 오랫동안 특정 기술을 연구해 오던 한 무더기의 사람들이 모두 퇴출당한 것이다 . 아마도 회사의 수장은 그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Zero 로 판단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 아니면 회사 내의 권력다툼 때문일지도 모른다 . 여하튼 이유는 모르지만 결과는 그 업계의 바깥에 있는 나에게도 알려졌다 . 물론 그 회사는 그 특정 기술을 제품으로 만들기도 했었다 . 제품 시판 결과는 참혹했다 . 재고 Zero 라는 일본의 토요타 웨이가 인기를 얻고 있던 시기였기에 , 회사는 그들을 완벽하게 방출해 버렸다 .   그리고 몇 년 후 그 회사는 큰 위기를 맞았다 . 그 회사가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던 그 특정 기술이 보편화된 것이다 . 세계적인 기업들이 인력을 대거 투입해서 핵심 기술을 완성해냈다 . 그래서 하루 아침에 판도는 180 도 달라졌다 . 급변한 기술 및 사업 환경에서 그 회사는 위기에 직면했다 . 그 회사에는 그 특정 기술을 아는 사람이 Zero 였기 때문이다 . 물론 완벽한 Zero 는 아니었다 . 그 특정 기술을 안다는 또 다른 한 무더기의 사람들이 그 회사 내에 있었기 때문이다 . 대체 인력이 있다면 , 그 회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어야 했다 .   그 업계 바깥에 있던 나는 고개를 갸우뚱했다 . 왜 그 회사만 그 특정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만들지 못하고 있을까 ? 그 회사의 경쟁사들이 세계적인 기업이 완성해낸 핵심기술을 이용해서 순식간에 신제품을 출시했는데도 말이다 . 오직 그 회사만 아무런 소식이 없었다 . 대체 인력이 있다고 했는데 문제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   이 사건은 마른 수건도 쥐어짜면 물이 나온다는 도요타웨이의 폐해가 드러난 순간이었다 . 탈수가 너무 심해서 동력이 떨어져 버린 것이다 .   < 삼국지 > < 무제기 > 에 따르...

[128일][05월07일][365매일글쓰기] 삼국지 함께 읽기를 포기하다

[128 일 ][05 월 07 일 ][365 매일글쓰기 ] 삼국지 함께 읽기를 포기하다   소설 삼국지는 나의 중학시절을 대표하는 책이다 . 집에서 1 시간 떨어진 학교를 배정받자 엄마는 울었다 . 시내에 있는 그 많은 중학교를 두고 하필이면 멀리 변두리에 위치한 신생학교를 배정받았기 때문이었다 . 긴 시간을 버스를 갈아타가며 통학을 했던 힘든 시절에 나에게 위안을 준 것은 영웅호걸들이 천하제패 ( 天下制覇 ) 하는 이야기였다 .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하는 소설 속에서 관우의 멋진 수염을 칭찬하고 공명의 백우선을 탐냈다 . 주유가 피를 토하며 죽을 때는 발을 동동 굴렀다 . 3 년내내 삼국지를 백 번은 읽었던 것 같다 . 중학생의 눈으로 중학생의 마음으로 읽고 또 읽었다 .   중학생 때 읽었던 삼국지는 일본 소설을 번역한 것이었다 . 40 대가 되어 다시 선택한 책은 황석영 작가의 번역본인 창비 출판사의 10 권짜리 삼국지였다 . 혼자 읽어보려 했으나 , 중학 시절 읽었던 책과 도입부부터 달랐고 , 문체도 상당히 달라서 적응이 되지 않았다 . 그래서 책은 몇 년간 먼지 속에 잠겨 있었다 . 숭례문학당에서 삼국지 함께 읽기를 발견했을 때 무척 기뻤다 . 매일 조금씩 함께 읽어나가면 끝까지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 그간 숭례문학당의 읽기 강좌에서 얻는 작은 성공을 믿었다 .   그러나 실패했다 . 나는 삼국지와 함께 이중텐의 < 삼국지 강의 > 도 함께 읽어 나갔다 . 삼국지를 읽으며 사건의 전후맥락을 파악하고 승패의 원인을 생각하려 노력했다 . 등장인물 각각에 조명을 비춰서 그들 각자가 사건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려 했다 . 중학시절과 달리 전풍 , 저수 , 순욱 , 가후 , 서서 , 공명 등과 같은 모사들에 저절로 마음이 갔다 . 모사들은 무엇을 보았고 , 어떤 계책을 내어놓았는지를 관찰했다 . 또한 동탁 , 여포 , 원소 , 원술 , 유표와 같은 실패한 인물들을 유심히 살폈다 . 각 인물의 장...

[111일][04월20일][365매일글쓰기] 109일차 조조보다 항상 우월했던 원소는 왜 졌을까

[111 일 ][04 월 20 일 ][365 매일글쓰기 ] 109 일차 조조보다 항상 우월했던 원소는 왜 졌을까   원소는 누구인가 ? 그의 가문은 사세삼공 ( 四世三公 ), 즉 , 원소의 아버지대를 포함하여 4 대의 조상들이 삼공의 직무 맡았던 위풍당당한 명문 가문이었다 . 삼공이라 함은 동한의 태위 , 사도 , 사공을 뜻하며 , 황제 바로 다음으로 지위가 높은 관직이었다 . 따라 원씨 가문의 위세는 나는 새도 떨어뜨릴 정도였고 , 4 대에 걸친 인맥은 넓고 두터웠다 . 게다가 원소는 조조에 비해 외모도 뛰어났다 .   반면에 조조는 누구인가 ? 조조의 할아버지 조등 ( 曹騰 ) 은 환관이었으며 , 조조의 아버지 조숭 ( 曹嵩 ) 은 양자였다 . 따라서 조조의 출신은 좋지 않았고 , 가정교육도 좋지 않았다 . 다만 할아버지 조등이 환관 중에서도 2 천 석의 녹봉을 받는 고관이었고 , 사람됨도 좋았다 . 할아버지 덕분에 부유했기에 아버지 조숭은 1 억 전을 내고 태위 ( 전국 최고 군사 장관 ) 가 되기도 했다 . 하지만 조조가 자라는 동안 조숭은 아들 교육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 . 어릴 적의 조조는 원소나 장막 같은 친구들과 어울려 이런저런 사고를 치기도 했다 . 어느 날 조조와 원소는 결혼식을 구경하러 갔다가 , 신부를 훔치려고 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응석받이에 사고뭉치였다고 전해진다 . 게다가 어느 문헌에서도 조조의 외모를 칭찬하는 표현이 없다 .   외적 조건으로 보면 원소는 엄친아였다 . 엄친아를 친구로 둔 조조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 정사 < 삼국지 > 나 소설 < 삼국지연의 > 에 묘사되는 원소는 머리가 나빴다 . 영제 ( 헌제의 아버지 ) 가 죽자 환관 무리를 잡기 위해 , 동탁을 끌어들인 사람이 바로 원소였다 . 이것은 집안의 쥐를 잡기 위해 산 속의 늑대를 집안으로 끌어들이는 격이었다 . 원소는 귀가 얇았다 . 그의 주변에는 그에게 아부하는 부하들이 넘쳐났다 . 원...

[109일][04월18일][365매일글쓰기] 총명과 우둔의 갈림길

[109 일 ][04 월 18 일 ][365 매일글쓰기 ] 총명과 우둔의 갈림길   물건에는 근본 ( 根本 ) 과 지말 ( 枝末 ) 이 있고 일에는 시작과 마침이 있으니 ,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면 ‘ 도 ’ 에 가까울 것이다 . - < 나를 넘어서는 학문 , 대학강의 > 36 페이지 , 전호근 , 동녘   < 대학 > 의 두 번째 장에 나오는 구절은 오래오래 곱씹어 볼만 하다 . 어떤 일을 하다가 혹은 어떤 생각을 하다가 문득문득 떠오르는 좋은 구절이다 . 물론 두 번째 장만 그런 것은 아니다 . < 대학 > 전체가 삶 곳곳에서 보물처럼 빛을 발한다 . 인용한 대목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 “ 物有本末 , 事有終始 , 知所先後 , 則近道矣 . 물유본말 , 사유종시 , 지소선후 , 즉근도의 .” 12 글자에 담겨진 뜻은 무궁무진하기만 하다 . 그 예를 < 삼국지 3 권 > 에 등장하는 원소에서 찾아보자 .   장면 1 마침내 원소는 문관과 무관들을 불러모아놓고 군사를 일으켜 조조를 공격할 일을 의논했다 . 먼저 모사 전풍이 말한다 .   “ 해마다 군사를 일으켜 백성들의 살림은 극도로 피폐하고 창고는 텅 비어 있는데 또다시 대군을 일으키는 것은 옳지 않은 일입니다 . 먼저 사람을 허도로 보내 우리가 공손찬을 꺾었다고 황제께 첩보를 올리십시요 . 만약 첩보가 제대로 올려지지 않거든 , 조조가 임금과 신하 사이를 가로막는다고 상소하십시오 . 그리고 급히 군사를 여양 ( 黎陽 ) 에 주둔시키고 , 다시 하내 ( 河內 ) 에 군선들을 걸집하고 병기를 손질한 뒤 정병으로 하여금 변방을 지키게 한다면 , 3 년 안에 천하대세를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삼국지 2 권 >, 236~238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원소의 선조들은 대대로 한나라에서 높은 관직을 지냈다 . 명문가 출신인 원소의 ...

[104일][04월13일][365매일글쓰기] 각자의 시작은 이러했다

[104 일 ][04 월 13 일 ][365 매일글쓰기 ] 각자의 시작은 이러했다   장면 1 고조 ( 한고조 유방 ) 는 콧날이 높고 이마는 튀어나와서 얼굴 모습이 용을 닮았으며 , 멋진 수염을 기르고 있었다 . 그리고 왼쪽 넓적다리에는 72 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 사람됨이 어질어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남에게 베풀기를 좋아했으며 , 탁 트인 마음에 언제나 넓은 도량을 가지고 있었다 . 평소 원대한 포부를 품고 있었던 그는 일반 백성들의 생산작업에 얽매이려고 하지 않았다 . 장년이 되자 시험으로 관리에 등용되어 사수정 ( 泗水亭 ) 의 정장 ( 亭長 ) 이 되었다 . < 중략 > 고조가 일찍이 함양 ( 咸陽 ) 에서 부역하고 있을 때 , 한번은 황제 ( 진시황 ) 의 행차를 구경하는 것이 허락된 적이 있었는데 , 진 시황제의 행차를 구경하고서는 길게 탄식하며 말하기를 “ 아 ! 대장부란 마땅히 저래야 하는데 ” 라고 하였다 . - < 사기본기 > 253-254 페이지 , 사마천 , 까치   장면 2 항적 ( 項籍 ) 은 하상 ( 下相 ) 사람으로 자는 우 ( 羽 ) 라고 하며 , 처음에 군대를 일으켰을 때 나이가 24 세였다 . 그의 계부는 항량 ( 項梁 ) 이며 항량의 부친은 초 ( 楚 ) 의 장수 항연 ( 項燕 ) 으로 진 ( 秦 ) 의 장수 왕전 ( 王翦 ) 에게 죽임을 당한 사람이다 . 항씨는 대대로 초의 장수로서 항 ( 項 ) 의 제후로 봉해졌으므로 성을 항씨로 하였던 것이다 . < 중략 > 항량은 사람을 죽이고 항적과 더불어 원수를 피해서 오중 ( 吳中 ) 으로 갔는데 , 오중의 현명한 인재들이 모두 항량의 밑에서 나왔다 . 오중에 요역 ( 繇役 ) 과 상사 ( 喪事 ) 가 있을 때마다 항량은 항상 주관하여 일 처리를 하였는데 , 은밀히 병법을 사용해서 빈객과 젊은이들을 배치하고 지휘하여 이로써 그들의 재능을 알아두었다 . 진 시황이 회계산 ( 會稽山 ) 을 유람하고 절강 ...

[103일][04월12일][365매일글쓰기] 모사 가후

[103 일 ][04 월 12 일 ][365 매일글쓰기 ] 모사 가후   삼국지 ( 삼국지연의 ) 에는 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 조조 , 유비 , 손권과 같은 주요 인물에 대해서는 자세히 묘사되지만 , 주변 인물들은 주요 인물과 연관될 때만 잠깐잠깐 등장하고는 한다 . 어떤 이는 잠깐 등장하고는 사라져 버린다 . 또 어떤 이는 사건의 맥락마다 등장한다 . 모사 ( 謀士 ) 가후 ( 賈詡 ) 는 삼국지의 초기부터 등장해서 끝까지 가는 신비로운 인물이다 . 참고로 모사란 책사 ( 策士 ) 로서 사전적 정의는 ‘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 ’ 이다 .   황제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황제 ( 헌제 ) 를 세운 동탁이 죽은 후 , 동탁이 아끼던 부하였던 이각 , 곽사 , 장제 , 번조는 앞날을 걱정한다 . 이때 가후가 삼국지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   이각의 실망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 “ 아무래도 용서받긴 틀린 모양이니 이대로 앉아 죽음을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는 일 , 각기 흩어져서 살 길을 찾는 수밖에 없겠소이다 .” 이각의 말에 모사 가후가 고개를 젓는다 . “ 여러분이 군사를 버리고 뿔뿔이 흩어진다면 일개 정장 ( 亭長 ) 이라도 공들을 능히 붙잡을 수 있을 거요 . 공들이 각자 흩어져서 살 길을 찾는다는 것은 , 섬서 사람들을 설득하여 본부의 남은 군사들과 함께 장안으로 쳐들어가 동탁의 원수를 갚느니만 못하오 . 그렇게 해서 만일 일이 잘 되면 조정을 받들어 천하를 바로잡게 되는 것이고 , 실패할 경우 그때 도망쳐도 늦지 않을 것이외다 .” - < 삼국지 1 권 > 216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가후의 조언으로 이각과 곽사 무리는 장안으로 쳐들어가 정권을 장악한다 . 다시 황제 ( 헌제 ) 는 동탁의 잔당 무리의 손에 떨어지게 된다 . 가후의 말 한마디로 인해서 한나라는 다시 한 번 큰 혼란에 빠진 것이다 .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

[098일][04월07일][365매일글쓰기] 인의(仁義)와 이익(利)

[098 일 ][04 월 07 일 ][365 매일글쓰기 ] 인의 ( 仁義 ) 와 이익 ( 利 )   오늘부터 삼국지 2 권을 읽기 시작했다 . 2 권 앞부분의 두 장은 가슴 답답한 내용이 가득했다 . 오늘 읽었던 부분에서는 각자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느라 인의 ( 仁義 ) 를 저버렸기 때문이다 .   인 ( 仁 ) 이 무엇이던가 ? 인간을 짐승이 아닌 인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인 ( 仁 ) 을 무어라 딱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무척 어렵지만 , 대강을 이야기하자면 남을 아끼는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 이기심 ( 利己心 ) 을 버리고 이타심 ( 利他心 ) 을 갖는 것이다 . 의 ( 義 ) 는 무엇인가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 마땅히 해야 할 일이란 자신이 속한 집단 ( 사회 ) 이 잘 운영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이다 . 비록 내가 힘들더라도 혹은 나에게 이득이 되지 않더라도 , 집단에 유익하거나 이득이 된다면 기꺼이 해야 하는 것이 의 ( 義 ) 이다 . 인의 ( 仁義 ) 가 없으면 , 인간은 짐승과 다를 바 없다 . 자기 자신의 편함과 영욕을 위해 서슴없이 남을 해치게 된다 .   동탁이 죽자 동탁의 부하였던 이각과 곽사가 정권을 잡는다 . 이 둘은 서로 더 좋은 위치에 서기 위해 경합하다가 결국 황제 ( 헌제 ) 와 대신들은 각각 볼모로 삼고 서로 싸운다 . 그들은 왜 황제가 필요했던가 ? 황제를 차지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함이었다 . 중국 세계관에서는 황제는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 . 그래서 천자라고도 한다 . 천자는 중원을 통일하고 다스려야 한다 . 그러나 어린 황제는 즉위와 동시에 나라를 다스리는 일보다는 이용당하기만 했다 . 제후들이 인의를 져버리고 이익만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 황제는 있으나 다스림은 없는 한 ( 漢 ) 은 망한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 .   그러면 왜 한 ( 漢 ) 나라의 국운이 쇠했을까 ? 원인은 헌제의 아버지였던 영제와 헌...

[097일][04월06일][365매일글쓰기] 소설과 기록의 차이

[097 일 ][04 월 06 일 ][365 매일글쓰기 ] 소설과 기록의 차이   조조는 연주 ( 兗州 ) 에 머물면서 널리 인재를 불러모았다 . < 중략 > 유엽이 또한 두 사람을 천거한다 . 한 사람은 산양 창읍의 만총이란 사람으로 자는 백녕이요 . 또다른 사람은 무성의 여건이란 사람으로 , 자는 자각이다 . 조조도 그들의 이름을 일찍부터 들어서 알고 있던 터라 곧 그들을 불러들여 군중종사 ( 軍中從事 ) 로 삼았다 . 만총과 여건이 함께 또 한 사람을 천거하니 , 그는 곧 진류 평구 사람 모개 ( 毛玠 ) 로 자는 효선이다 . 조조는 그 역시 초빙하여 종사로 삼았다 . - < 삼국지 1 권 > 232~234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소설 삼국지 ( 원래이름은 삼국지연의 ) 에서는 그저 스쳐가듯이 한 사람의 이름이 거론되었다 . 모개 . 192 년 ( 헌제 초평 3 년 ) 조조는 낙양에 있는 관료의 추천으로 청주 ( 靑州 ) 의 황건적을 토벌하라는 조정의 명을 받는다 . 동탁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계책을 썼던 왕윤마저도 죽임을 당한 후 동탁의 수하인 이각과 곽사가 정권을 잡고 있을 때였다 . 황건적을 성공적으로 토벌한 조조는 연주에 자리 잡았고 , 195 년 10 월에 정식으로 연주목이 되었다 . 연주에 자리를 잡은 조조는 인재를 불러모았다 . 한 사람이 천거되면 다시 또 한 사람을 천거하는 식으로 인재들이 모여들었다 . 이때에 들어온 인재 중 한 사람이 모개이다 .   간웅이라고 알려진 조조는 인복이 있는 사람이기도 했다 . 한 번 그의 사람이 되면 서로 신뢰로 관계를 맺었고 , 자기 사람을 잘 챙겼다 . 보통의 주종관계에서는 사소한 의심으로 서로 관계가 틀어지기도 하는데 , 조조는 이점을 잘 알았고 큰 문제가 아니면 신하가 배신해도 버리지않고 용서했다 . 연주에서 조조는 모개와 긴 시간 대화를 나눈다 . 이때 모개는 조조에게 ‘ 조조판 융중대 ( 隆中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