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일 ][11 월 09 일 ][365 매일글쓰기 ] 나는 꿈이 없다 사람들은 나에게 질문을 하고는 했다 . 꿈이 뭐냐고 . 그러면 나는 00 년까지 0000 을 하는 것이라고 대답했었다 . 그들은 고개를 갸우뚱하며 말했다 . 그건 꿈이 아니고 목표잖아요 . 그렇다 . 나는 꿈이 없다 . 나의 꿈은 대학 진학과 동시에 사라졌다 . 어린 시절 내내 꿈꾸어 오던 분야로 진학을 하지 않고 전혀 다른 분야로 뛰어든 그 순간 나는 길을 잃었다 . 심지어는 진학한 분야에 적응하느라 너무 힘이 들어서 다른 꿈을 꿀 수조차 없었다 . 매 순간이 도전이었고 매 순간 눈 앞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급급했다 . 차분히 생각할 시간 따위는 아예 없었다 . 대학 시절 내내 나를 극한으로 내몬 것은 영어였다 . 학교에서 영어를 배운 것이 전부였던 나에게 던져진 영어 원서가 문제였다 . 교과서를 읽어야 과제를 할 수 있고 시험 공부도 할 수 있는데 당시의 나의 영어 실력은 30 분에 겨우 한 페이지를 읽는 수준이었다 . 대학교 1 학년 교재 중에 국어와 한국사 빼고는 죄다 영어 원서였고 한 권당 페이지 수는 어머어마 했다 . 나에게 영어는 발목을 잡는 족쇄였다 . 영어에 치여서 20 대를 힘들게 보내나서 30 대에 진입하게 될 즈음에 나에게 꿈이 생겼다 . 영어를 잘하고 싶다는 꿈 . 그래서 3 년간 열심히 노력했다 . 나는 인생 처음으로 가장 열심히 , 가장 신나게 공부했던 시기였다 . 꿈을 이루기 위한 공부였기 때문일 것이다 . 사람들이 또 나에게 물었다 . 꿈이 뭐냐고 . 그래서 나는 대답했다 . 영어를 잘하는 것이라고 . 그랬더니 사람들이 고개를 갸우뚱하며 말했다 . 그건 꿈이 아니라 목표잖아요 . 나는 당황했다 . 그렇게 내 꿈은 사라졌다 . 그럼 꿈은 뭘까 ? 아무리 머리를 짜내 봐도 나오는 것은 목표뿐이었다 . 오랜 시간 동안 습관으로 자리잡은 사고방식 때문에 자꾸...
[313 일 ][11 월 08 일 ][365 매일글쓰기 ] 방송대 중어중문학과에서의 4 학년 2 학기 소감과 향후 계획 방송대 중어중문학과의 4 학년 과목은 어려운 편이다 . 3 학년 2 학기부터 난이도가 높아지다가 4 학년이 되면 한층 수준이 높아진다 . 학기 초에 첫 강을 배울 때면 , 자존감이 급격히 낮아지고 과목을 끝까지 해낼 수 없을 것만 같은 불안이 엄습하고는 했다 . 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것은 아무리 어려운 과목이라도 강의를 두어 번 반복해서 듣다 보면 어느새 적응이 된다는 점이다 . 아무리 어려운 단어도 강의의 해당 영상을 서너 번 반복하면 익숙해지는 것도 신기하다 . 그 만큼 교수님들의 강의력이 뛰어나기 때문일 것이다 . 또한 어학은 반복이 중요하다 . 만약 내가 이 과목들을 오프라인에서 들었다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 한 번에 다 받아들이지 못하고 놓치기 때문일 것이다 . 하지만 온라인에서는 그럴 염려는 없다 . 10 초 되감기를 해서 다시 듣거나 구간반복을 설정해서 반복해서 듣거나 강의 전체를 원하는 만큼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 . 의지와 끈기를 가지고 반복하면 아무리 어려워도 습득해낼 수 있다 . 학기초에 바닥을 쳤던 자존감은 시간이 흐르면 점차 자신감이 솟구치면서 회복되고는 했다 . 끈기와 인내를 갖고 반복하다 보면 실력도 늘었다 . 나의 실제 경험을 하나 예로 들겠다 . 중어중문학과 어학 과목에는 항상 원어민 교수님 한 분이 등장한다 . 한국 교수님이 설명하면 중국어로 설명을 덧붙인다 . 또한 중국 특유의 관념을 설명하면 한국 교수님이 한국어로 번역해서 다시 설명해준다 . 처음에 나는 중국 교수님의 말을 하나도 알아듣지 못했다 . 그래서 중국 교수님의 설명은 한 귀로 들어와 다른 귀로 쓰윽 빠져나갔다 . 그런데 요즘은 조금을 알아들 수 있게 되었다 . 말하는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대부분의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다 . 그래서 중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