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 일 ][06 월 07 일 ][365 매일글쓰기 ] 뉴 미디어에 대한 단상 신매체의 개방성은 또한 그것의 ‘ 풀뿌리화 ’ 방면에서도 구현되었다 . 신매체에서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개인의 관점을 발표할 수 있다 . 이런 점은 현재 가장 유행하고 있는 웨이보나 블로그 , 위챗 등과 같은 인터넷 통신수단에서 가장 분명하게 구현되고 있다 .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개인이 만든 웨이보에서는 개인이 기자와 편집자의 역할을 동시에 맡으며 , 개인이 보고 들은 것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 대해 정리 , 총괄하여 인터넷상에 그것을 발표할 수 있다 . 컴퓨터 한 대만 있고 계정 하나만 등록하면 아무리 평범한 사람이라도 모두 인터넷이라는 이 플랫폼을 통하여 문화창작을 할 수 있으며 문화교류를 전개하고 개인의 문화작품을 발표할 수 있다 . - < 고급중국어 1> 제 8 과 내 안중의 신매체 중에서 新媒体的 开 放性 还 体 现 在 它 的“草根化”方面。在新媒体中,每 个 人都可以建立自己的空 间 , 发 布 个 人 观 点。 这 点在 现 在最流行的 网络 通 讯 工具体 现 得最明 显 ,如微博,博客,微信等。具体而言,在 个 人 创 建的微博中, 个 人同 时 充 当 了 记 者和 编辑 的角色,可以通 过个 人所 见 所 闻 , 将 不同人的 观 点 进 行整理和 总结 , 并将 其 发 表在 网络 中。只要 拥 有一台 电脑 ,注 册 一 个账号 ,任何一 个 普通人都可以通 过网络这个 平台 进 行文化 创 作, 开 展文化交流 并 且 发 表 个 人文化作品。 - 《高级中国 语 1 》 第 8 课 我眼中的新媒体 中 20 세기말 사람들은 가까운 미래는 1 인 방송 혹은 1 인 미디어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점쳤었다 . 당시에는 불가능해 보였다 . 첫번째 이유는 신문과 방송의 입지가 너무나 굳건해서 개인이 그들의 권위에 도전할 엄두조차도 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 두번째 이유는 콘텐츠 제작 비용이 너무 비싸서 개인이 부담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