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59일][06월07일][365매일글쓰기] 뉴 미디어에 대한 단상

[159][0607][365매일글쓰기] 미디어에 대한 단상

 

신매체의 개방성은 또한 그것의 풀뿌리화방면에서도 구현되었다. 신매체에서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개인의 관점을 발표할 수 있다. 이런 점은 현재 가장 유행하고 있는 웨이보나 블로그, 위챗 등과 같은 인터넷 통신수단에서 가장 분명하게 구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개인이 만든 웨이보에서는 개인이 기자와 편집자의 역할을 동시에 맡으며, 개인이 보고 들은 것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 대해 정리,총괄하여 인터넷상에 그것을 발표할 수 있다. 컴퓨터 한 대만 있고 계정 하나만 등록하면 아무리 평범한 사람이라도 모두 인터넷이라는 이 플랫폼을 통하여 문화창작을 할 수 있으며 문화교류를 전개하고 개인의 문화작품을 발표할 수 있다. - <고급중국어1> 8과 내 안중의 신매체 중에서

新媒体的放性的“草根化”方面。在新媒体中,每人都可以建立自己的空点。点在在最流行的网络工具体得最明,如微博,博客,微信等。具体而言,在建的微博中,人同者和编辑的角色,可以通过个人所不同人的行整理和总结并将表在网络中。只要有一台电脑,注个账号,任何一普通人都可以通过网络这个平台行文化作,展文化交流人文化作品。- 《高级中国18 我眼中的新媒体

 

20세기말 사람들은 가까운 미래는 1인 방송 혹은 1인 미디어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점쳤었다. 당시에는 불가능해 보였다. 첫번째 이유는 신문과 방송의 입지가 너무나 굳건해서 개인이 그들의 권위에 도전할 엄두조차도 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두번째 이유는 콘텐츠 제작 비용이 너무 비싸서 개인이 부담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세번째 이유는 콘텐츠 수익 구조가 불명확했다. 소비자가 대형매체를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든 광고는 대형매체에 집중되었다. 그러므로 개인에게 광고가 들어올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개인매체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 첫 사례는 포털사이트의 파워블로거였다. 이들은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 수수료를 받았다. 그들의 수입은 상상을 초월했고, 많은 사람들이 파워블로거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파워블러거의 뒤를 잇는 두번째 사례는 인터넷 카페였다. 인터넷 모임의 규모가 커지자, 카페 운영진은 판매자들로부터 제품 광고 수익은 물론 판매 수익까지 받았다. 이후 SNS 이용자가 늘자, 파워블로거와 인터넷 카페 운영진들은 SNS로 자연스럽게 이동했다.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 SNS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블로거와 운영진들은 도태되었지만, 이들의 실패를 딛고 인플루언서(Influencer)들이 등장했다. 인플루언서는 SNS를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SNS의 이용자들은 마음에 드는 인플루언서를 구독했고, 구독자가 많은 인플루언서는 막대한 광고 수익을 챙겼다. 소비자에게 인플루언서들은 1인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한 사람의 인플루언서를 위해 다수의 스태프들이 움직이며, 서로 역할을 나누어 움직인다. 즉 인플루언서는 소설 미디어의 얼굴마담일 뿐 시나리오 작가, 코디네이터, 조명, 카메라맨, 편집자 등 수많은 사람들이 카메라 뒤편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1인 방송, 1인 미디어는 20세기말의 환상일 뿐이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1인 방송, 1인 미디어로 불리고는 있지만, 이들은 작은 기업체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피엔스 3일차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사피엔스 3 일차 제 1 부 인지혁명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70~101 페이지 ) 2019 년 8 월 5 일 월요일 # 사피엔스 # 함께읽기 # 숭례문학당 # 인지혁명 # 게걸스런유전자 #7 만년전부터 1 만년전까지 # 수렵채집위주생활 # 약 1000 만명인구 ▶ 오늘의 한 문장 현대인의 사회적 , 심리적 특성 중 많은 부분이 이처럼 농경을 시작하기 전의 기나긴 시대에 형성되었다 . 심지어 오늘날에도 우리의 뇌와 마음은 수렵채집 생활에 적응해 있다고 이 분야 학자들은 주장한다 . - 70 페이지

[034일][10월04일]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편

[034 일 ][10 월 04 일 ][백일글쓰기2]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 독일 , 프랑스 , 스페인편 넷플릭스를 가입하기 전에는 케이블 TV 에서 미드 ( 미국 드라마 ) 를 보고는 했다 . 유명한 미드는 여러 장르가 있는데 , 범죄스릴러 미드가 압도적으로 많다 . 미국의 각종 수사기관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범인을 잡는 장면은 시청자의 속을 후련하게 했다 . 정의가 실현되는 장면은 마치 어릴 적 읽었던 권선징악 ( 勸善懲惡 ) 동화들을 떠올리게 했다 . 비록 드라마이지만 ,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에 심리적 위안을 느낀 것이다 . 일종의 카타르시스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