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5 일 ][02 월 04 일 ][365 매일글쓰기 ] 값싼 사치 중세 유럽의 귀족들은 값비싼 사치품에 돈을 흥청망청 썼지만 , 농부들은 한 푼 한푼을 아끼면서 검소하게 살았다 . 오늘날은 상황이 역전되었다 . 부자는 자산과 투자물을 극히 조심스럽게 관리하는 데 반해 , 그만큼 잘살지 못하는 사람들은 빚을 내서 정말로 필요하지도 않은 자동차와 TV 를 산다 . 자본주의 윤리와 소비지상주의 윤리는 동전의 양면이다 . 이 동전에는 두 계율이 새겨져 있다 . 부자의 지상 계율은 “ 투자하라 !” 이고 , 나머지 사람들 모두의 계율은 “ 구매하라 !” 다 . - < 사피엔스 > 493 페이지 , 유발 하라리 , 김영사 20 대의 나는 자동차를 원했다 . 취직하자마자 할부로 경차를 샀다 . 차를 살 당시에는 한적한 곳에 살았기 때문에 차가 있으면 편리했고 무료 주차장도 많았었다 . 서울로 취직하게 되어 이사를 하고 보니 , 서울은 주차장도 적을뿐더러 주차비도 무척 비쌌다 . 게다가 서울 시내에서 차를 가지고 나가면 도로가 막혀서 시간도 많이 걸렸다 . 내 차는 항상 집에 세워져 있었고 , 나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했었다 . 실제로 서울에서 차는 애물단지였지만 , 나는 차를 계속 소유하고 있었다 . < 사피엔스 > 에서 자본주의와 소비지상주의에 대해 읽고는 충격에 빠졌다 . 그때까지 나는 투자를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 투자는 오직 저축 뿐이었다 . 곰곰이 생각해보니 , 정말로 소비지상주의 윤리에 충실한 삶을 살고 있었다 . 집 안을 둘러보면 , 불필요한 물건들이 많이 눈에 띄였다 . 이걸 왜 샀는지 모르는 것들도 많았다 . 단지 광고에 끌려서 , 호객행위에 혹해서 산 물건투성이었다 . 그러면 부자들은 어디에 투자하는 걸까 ? 궁금해서 재테크 관련 강의를 들어봤다 . 부자들은 보험 , 증권 , 부동산 , 현물에 분산투자를 하고 , 경제 흐름에 따라 각 분야별 투자 비율을 조정하고 있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