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왕양명인 게시물 표시

[002일][01월02일][365매일글쓰기] 지혜로움

[002 일 ][01 월 02 일 ][365매 일글쓰기 ] 지혜로움 어제 우연히 토론회를 봤다 . 주제는 < 왜 언론은 불신의 대상이 됐나 ?> 였다 . 네 명의 패널이 자신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을 했다 . 그 토론을 보고 있자니 , 순 ( 舜 ) 임금이 저절로 떠올랐다 . < 중용 ( 中庸 )> 6 장에서 공자 ( 孔子 ) 는 순 ( 舜 ) 임금이야말로 매우 지혜로운 분이라고 극찬했다 . 왜 그랬을까 ? 동양고전을 읽다보면 순 ( 舜 ) 임금이 자주 등장한다 . 요순 ( 堯舜 ) 시대의 그 순임금이다 . 태평성대라고 알려진 요순시대를 유학자들이 두고두고 그리워하는 이유는 요임금이 왕위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효자로 이름난 순에게 왕위를 선양 ( 禪讓 , 임금이 그 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줌 ) 했고 , 순임금 또한 그러했기 때문이다 . 순임금의 뒤를 이어 임금이 된 이는 치수 ( 治水 ) 사업을 완수한 우 ( 禹 ) 였다 . 우임금부터는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었고 , 나라 이름은 하 ( 夏 ) 였다 . 순 ( 舜 ) 임금은 대효 ( 大孝 ) 로 유명하다 .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9 년 06 월 10 일에 쓴 글을 이 글 아래에 덧붙이는 것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 여기에서는 순임금이 왜 지혜로운 사람인가에 대해 논해보자 . 첫째로 순 ( 舜 ) 임금은 “ 무엇이든지 묻기를 좋아하셨다 好問 ” 고 한다 . 우리는 언제 질문하는가 ? 대부분의 경우 , 모르기 때문에 질문한다 . 아이들이 어른에게 “ 하늘은 왜 파란가요 ?” 라고 묻는 것처럼 말이다 . 질문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 몇 년 전 동아리에서 논어 ( 論語 ) 를 공부할 때 , 학우 ( 學友 ) 들은 인 ( 仁 ) 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질문했다 . 공자께서는 인 ( 仁 ) 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지 않고 인 ( 仁 ) 을 이루는 방식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 그 방식이 질문마다 다 달랐다 . 인색한 사람에게는 좀 더 베풀도록하고 , ...

[122일][12월31일] 극기(克己)

[122 일 ][12 월 31 일 ][ 백일글쓰기 2] 극기 ( 克己 ) 극 ( 克 ) 은 머리 ( 口 ) 에 투구 ( 十 ) 를 쓴 사람 ( 儿 ) 이 그 무게를 이겨내다 또는 어깨에 무거운 짐을 메고 오래동안 ( 古 ) 견뎌내는 사람 ( 儿 ) 의 모양을 딴 글자로서 ‘ 이기다 ’, ‘ 매다 ’ 의 뜻을 가진다 . 기 ( 己 ) 는 사람의 척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로 ‘ 사람의 몸 ’ 혹은 ‘ 자기 ’ 를 뜻한다 . 그러므로 극기는 ‘ 자기를 이겨낸다 ’ 로 풀이될 수 있다 . 그런데 뭘 이겨내는 것일까 ? 내 안의 욕심 , 휘몰아 치는 감정을 이겨내야 한다 . *) 한자 풀이는 한자신문의 설문해자 칼럼을 참조 사람의 정신은 몸 안에 갇혀 있다 . 그러다 보니 자꾸만 자기 위주로 생각하게 된다 . 자기 자신의 관점에 얽매이게 되면 치우치게 된다 . 마음이 치우치면 감정이 격해지기 마련이다 . 지나치게 화를 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게 되면 몸 또한 감정에 삼켜지게 된다 . 예를 들어 , 극도로 화가 나면 몸을 부들부들 떨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 그렇다면 감정이 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 지점까지만 화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고 있다면 감정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 그래서 고대부터 많은 사람들이 ( 예를 들어 ) 화가 날 상황일 때는 화를 내지만 딱 그 상황에 알맞은 정도로만 화를 내기 위한 공부를 했고 하고 있다 . 나는 이것이 바로 극기라고 생각한다 .   홀로 책을 읽으며 공부할 때에는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아 있어서 편안하다 . 그러나 집 안이든 집 밖이든 사람들과 어울리는 순간부터 사건 ( 일 ) 들이 발생하게 된다 . 어떤 사건은 아무런 감정도 일으키지 않는다 . 또 어떤 사건은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 갈등을 일으킨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의 감정이 소용돌이치게 된다 . 이때가 공부의 최적 시기이며 그 사건이 공부의 최적 장소이다 . 갈등 상황에서의 극기가 진짜 공부이다 . ( 육징이 ) ...

[092일][12월01일] JLPT 보는 날

[092 일 ][12 월 01 일 ][ 백일글쓰기 2] JLPT 보는 날 오늘 아이가 JLPT 의 최하난이도 시험을 봤다 . N5 이다 . N5 와 N4 는 응시한 사람이 적어서 시험장이 드문드문있다 . 여기저기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레벨이 N3 이다 보니 , N3 이상을 보는 응시자는 많은 편이다 . 게다가 일본 유학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N2 나 N1 을 꼭 봐야만 한다 . 그런 이유로 우리 집 근처에서는 N1~N3 까지만 시험을 볼 수 있다고 한다 . 아이와 함께 지하철을 타고 용산까지 이동했다 . 시험장소가 이촌역 바로 옆에 있었기 때문이다 . 직행을 탄 까닭에 30 분만에 도착했다 . 인근 카페에서 여유롭게 차도 한 잔하고 입실 시간에 맞춰 아이를 들여보냈다 . 그리고 나서 오랫동안 앉아 공부할 곳을 검색했다 . 다행히 조금 걸어가면 스타벅스가 있었다 . 학교길을 따라 걸어가다 보니 , 큰 길이 나왔다 .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이었다 . 그곳에 스타벅스가 있었다 . 핫초코 한 잔을 주문하고 , 이층으로 올라가니 이곳도 사람들로 꽉 차있었다 . 큰 테이블에 빈 자리에 양해를 구하고 합석을 했다 . 다들 열공분위기이다 . 나도 그 틈에서 시험 공부를 했다 . 내 옆의 학생은 고등학생인 듯했다 . 시험공부를 하는 것 같은데 , 집중시간이 짧았다 . 자주 핸드폰을 들여다본다 . 공부하다 핸드폰을 보다를 반복했다 . 내 앞의 아가씨는 대학생인 듯했다 . 깜지를 만들며 열심히 외우는 중이다 . 정말 분주하게 공부를 하고 있었다 . 나의 대각선 방향에는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설명이 한창이었다 . 선택을 받기 위해 자기 회사의 장점을 줄줄이 나열하고 고객의 가려운 곳을 싹싹 긁어주고 있었다 . 고개를 들어 멀리 보니 , 저 건너편 기둥 옆에 2 인 테이블에 앉은 남성은 공부보다는 딴 생각에 빠진 것 같았다 . 내 뒤에서는 과외가 한창이었다 . 열정적인 설명 뒤에 학생의 ‘ 예 ’ 가 들린다 . 일요일 이른 오후 스타벅스는 이런저런 사람들...

[003일][09월03일] 왜 굳이 공부를 해야 할까

[003 일 ][09 월 03 일 ][ 백일글쓰기 2] 왜 굳이 공부를 해야 할까 # 연금술사 # 백일글쓰기 # 작년이맘때 # 주자 # 왕양명 # 전습록 # 세상에서가장쉬운실천법 작년 이맘 때 , 나는 남산 밑에 자리잡은 학당에서 주희 ( 주자 ) 와 왕양명에 대한 공부를 막 시작하고 있었다 . 우리가 주자에 대한 간략한 책 1 권을 읽고 토론을 하던 중이었다 . 우리 중 한 명이 질문을 했다 . “ 주자께서 공부에 매진하여 성인 ( 聖人 ) 이 되라고 하시는데 , 나는 현재의 나로 만족한다 . 왜 굳이 힘들게 공부해서 저 높은 곳에 있는 성인이 되어야 하는가 ?” 당연한 질문이었다 . 주자의 조언에 의하면 , 한평생 켜켜이 쌓인 공부의 계단을 하나씩 하나씩 밟고 올라가야만 하는데 그 계단은 끝이 없어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