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072일][03월12일][365매일글쓰기] 아크릴 수세미 뜨기


[072][0312][365매일글쓰기] 아크릴 수세미 뜨기

아크릴 수세미가 낡아졌다. 아크릴 수세미는 가게에서 한 개에 1,000원이면 살 수 있는 흔한 물건이다. 문득 집에 아크릴 실도 있고 코바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구니를 뒤적거렸더니 5호와 3호가 양끝에 있는 쇠코바늘이 손에 잡혔다. 분홍색 아크릴실을 5호 코바늘로 호빵 수세미를 만들기 시작했다. 아크릴실은 긴 털이 달려있어서 코가 잘 보이지 않았다. 한 층을 다 뜨고 끝부분에 도착했을 때, 유튜브 영상의 샘플과 남은 코 수가 다르면 다 풀었다 다시 떠야 했다. 이렇게 하루 종일 시간을 보냈다.

아크릴 수세미는 개수대에서 무척 유용하게 쓰인다. 세제 거품을 묻힌 그릇들을 헹굴 때 아크릴 실의 긴 수술은 무척 유용하다. 사용을 마친 후에 걸어 두면 바짝 마르기 때문에 위생적이기도 하다. 계란 후라이를 한 후, 종이타월로 기름을 닦아내고 아크릴 수세미를 사용해 물로 닦고는 한다. 갈비찜을 한 냄비처럼 여러 번 닦아도 기름기가 미끌거릴 때에도 아크릴 수세미 하나면 보송보송해진다.

가게에서 파는 아크릴 수세미는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네모난 것, 둥근 것 그리고 원피스 모양의 것. 나는 이중에 둥근 형태를 선호한다. 손에 거치적거리지 않기 때문이다. 한번은 가게에 원피스 모양밖에 없어서 파란색과 흰색으로 예쁘게 꾸며진 아크릴 수세미를 산 적이 있다. 원피스 형태는 두께가 두툼해서 손에 쥐는 맛이 있었다. 두툼하다 보니 섬세하게 닦기는 힘들다. 다른 모양의 아크릴 수세미를 사러 다른 가게에 갔는데, 거기에도 원피스 모양밖에 없었다. 쫌 당황헀다. 그래서 직접 만들어 보려고 아크릴실을 샀었다. 그러다 우연히 둥글고 예쁜 꽃 모양 아크릴 수세미를 발견했다. 그리고는 아크릴실은 방치되었다.

겨울 방학 전에 아이가 학교에서 직접 만들었다며 연분홍색의 예쁜 호빵 아크릴 수세미를 가져왔다. 색감이 고와서 바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약간 성기게 뜬 수세미는 잡기도 편했다. 이제 그 수세미가 헤어졌다. 호빵 모양이 마음에 들어서 직접 뜨기로 마음을 먹었다. 한참을 수세미와 씨름하다가 아이에게 물어봤다.

호빵 뜨기가 쉽지 않아. 호빵 수세미 만들 때 너는 얼마나 걸렸어?”
“2시간 정도?”
엄마는 지금 몇 시간째인데도 절반도 못했어.”
수세미 뜨는 틀이 있어. 그걸로 하면 코바늘 필요 없어. 손에 익으면 30분이면 다 뜨기도 한대.”

~ 틀이 있다고? 코바늘로 뜬게 아니었다고! 아이가 직접 만든 예쁜 연분홍색 호빵 아크릴 수세미를 우러러 보던 나의 고개가 내려왔다. 애야, 그래도 엄마는 코바늘로 떠보련다. 내일은 완성되겠지. 누구는 여러 색을 섞어서 예쁜 꽃 무늬도 만들더라. 하지만 이 엄마는 단색 호빵도 감지덕지이다. 네가 가지고 온 호빵 수세미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엄마는 호빵 수세미를 꼭 만들고 싶었단다.

글자수 : 1035(공백 제외)
원고지 : 7.15

#연금술사 #365매일글쓰기 #숭례문학당 #아크릴수세미뜨기 #호빵수세미 #오늘은뉴스말고 #코로나19판데믹선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피엔스 3일차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사피엔스 3 일차 제 1 부 인지혁명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70~101 페이지 ) 2019 년 8 월 5 일 월요일 # 사피엔스 # 함께읽기 # 숭례문학당 # 인지혁명 # 게걸스런유전자 #7 만년전부터 1 만년전까지 # 수렵채집위주생활 # 약 1000 만명인구 ▶ 오늘의 한 문장 현대인의 사회적 , 심리적 특성 중 많은 부분이 이처럼 농경을 시작하기 전의 기나긴 시대에 형성되었다 . 심지어 오늘날에도 우리의 뇌와 마음은 수렵채집 생활에 적응해 있다고 이 분야 학자들은 주장한다 . - 70 페이지

[034일][10월04일]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편

[034 일 ][10 월 04 일 ][백일글쓰기2]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 독일 , 프랑스 , 스페인편 넷플릭스를 가입하기 전에는 케이블 TV 에서 미드 ( 미국 드라마 ) 를 보고는 했다 . 유명한 미드는 여러 장르가 있는데 , 범죄스릴러 미드가 압도적으로 많다 . 미국의 각종 수사기관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범인을 잡는 장면은 시청자의 속을 후련하게 했다 . 정의가 실현되는 장면은 마치 어릴 적 읽었던 권선징악 ( 勸善懲惡 ) 동화들을 떠올리게 했다 . 비록 드라마이지만 ,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에 심리적 위안을 느낀 것이다 . 일종의 카타르시스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