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중어중문학과인 게시물 표시

[313일][11월08일][365매일글쓰기] 방송대 중어중문학과에서의 4학년 2학기 소감과 향후 계획

  [313 일 ][11 월 08 일 ][365 매일글쓰기 ] 방송대 중어중문학과에서의 4 학년 2 학기 소감과 향후 계획   방송대 중어중문학과의 4 학년 과목은 어려운 편이다 . 3 학년 2 학기부터 난이도가 높아지다가 4 학년이 되면 한층 수준이 높아진다 . 학기 초에 첫 강을 배울 때면 , 자존감이 급격히 낮아지고 과목을 끝까지 해낼 수 없을 것만 같은 불안이 엄습하고는 했다 .   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것은 아무리 어려운 과목이라도 강의를 두어 번 반복해서 듣다 보면 어느새 적응이 된다는 점이다 . 아무리 어려운 단어도 강의의 해당 영상을 서너 번 반복하면 익숙해지는 것도 신기하다 . 그 만큼 교수님들의 강의력이 뛰어나기 때문일 것이다 .   또한 어학은 반복이 중요하다 . 만약 내가 이 과목들을 오프라인에서 들었다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 한 번에 다 받아들이지 못하고 놓치기 때문일 것이다 . 하지만 온라인에서는 그럴 염려는 없다 . 10 초 되감기를 해서 다시 듣거나 구간반복을 설정해서 반복해서 듣거나 강의 전체를 원하는 만큼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 . 의지와 끈기를 가지고 반복하면 아무리 어려워도 습득해낼 수 있다 .   학기초에 바닥을 쳤던 자존감은 시간이 흐르면 점차 자신감이 솟구치면서 회복되고는 했다 . 끈기와 인내를 갖고 반복하다 보면 실력도 늘었다 . 나의 실제 경험을 하나 예로 들겠다 . 중어중문학과 어학 과목에는 항상 원어민 교수님 한 분이 등장한다 . 한국 교수님이 설명하면 중국어로 설명을 덧붙인다 . 또한 중국 특유의 관념을 설명하면 한국 교수님이 한국어로 번역해서 다시 설명해준다 . 처음에 나는 중국 교수님의 말을 하나도 알아듣지 못했다 . 그래서 중국 교수님의 설명은 한 귀로 들어와 다른 귀로 쓰윽 빠져나갔다 . 그런데 요즘은 조금을 알아들 수 있게 되었다 . 말하는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대부분의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다 . 그래서 중국 ...

[146일][05월25일][365매일글쓰기] 중어중문학과 고급중국어1

[146 일 ][05 월 25 일 ][365 매일글쓰기 ] 중어중문학과 고급중국어 1   나는 어릴 적부터 무작정 공부만 해왔었다 . 왜 해야 하는지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른 채 시키는 대로 하라는 대로 공부만 해왔다 . 이러한 공부 방식은 직장에서도 이어졌다 . 왜 일해야 하는지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른 채 시키는 대로 하라는 대로 일을 했다 . 그러다가 어느새 21 세기가 되었고 , 갑자기 회사문화가 바뀌었다 . 생각하면서 일하라고 했다 . 업계의 맥락을 읽고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파악하는 통찰력을 요구했다 . 전체 그림을 파악하면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면 재미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 이때이다 .   방송대에서는 인터넷으로 강의를 듣는다 . 교수님과의 면대면 접촉이 없다보니 , 기계적이 학습이 되기 쉽다 . 왜 배우는지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른 채 공부하다 보면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 . 한 과목의 15 개 강좌는 모두 다 같은 형식을 취한다 . 오늘 배울 내용을 개괄하고 하나씩하나씩 풀어가는 식이다 . 동일한 형식의 강좌를 한 학기에 5~6 개를 듣다보면 , 따분하기 그지없다 .   그런 면에서 고급중국어 1 의 강의 진행방식은 신선했다 . 처음에는 중국 여행을 떠난다는 것이 무슨 말인지 알아차리지 못했다 . 강의가 진행되면서 , 중국내 여러 도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고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는지가 연결되니 강의가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 내용이 궁금해졌다 . 어려운 과목을 재미있게 만든 진행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 또한 고급중국어 1 교재 안의 내용도 흥미롭다 . 각 과의 주제도 재미있지만 , 더 놀라운 것은 앞의 과에 나온 단어가 뒤의 과에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 앞에서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게 하는 방식은 학생에게 큰 도움을 준다 . 외국어는 반복 습득이 중요하기 하기 때문이다 . 만약 중국어에 자주 노출되는 학생이라면 이 사실이 크게 도움되지 않겠지만 , 나처럼 공부할 때만 중국어에 접하게 사람에...

[120일][04워29일][365매일글쓰기] 중국어 실용문

[120 일 ][04 워 29 일 ][365 매일글쓰기 ] 중국어 실용문   실용문 ( 實用文 ) 이란 무엇인가 ? 실생활의 필요에 의하여 쓰는 글로 , 공문 ( 公文 ), 통신문 ( 通信文 ), 광고 ( 廣告 ), 서간문 ( 書簡文 ) 등이라고 사전에 정의 되어 있다 . 일상생활 중에 만나는 수많은 전단지 , 영화 포스터 , 엘리베이터나 건물 1 층 게시판에 붙어있는 게시물들이 바로 실용문이다 . 이런 실용문은 당연히 중국에도 있다 . 그래서 과목이름이 중국어 실용문이다 .   중국어 실용문 1 과를 들을 때였다 . 헉 소리가 저절로 나왔다 . 정말 생소한 문장이었기 때문이다 . 휴대폰 광고였는데 , 가장 어려웠던 것은 단어였다 .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어서 눈앞이 깜깜했다 . 우리나라 휴대폰 광고에 등장하는 표현은 이해가 가능했지만 , 중국 특유의 서비스나 요금체계는 해석하기가 힘들었다 . 이러니 중국어 실용문을 따로 공부하나 보다 .   중국어 실용문을 공부하면서 느끼는 점은 아직도 중국에서는 글을 쓸 때 정해진 틀을 애용한다는 점이다 . 한국과 달리 이메일을 보낼 때도 격식을 차린다 . 메일 수신자를 어떻게 부를 것인지 , 인사는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 , 본문은 정중하게 하고 , 끝 머리 인사를 반드시 붙여야 하고 서명 및 작성날짜도 적어야 한다 . 한국에서도 업무용 메일을 작성할 때는 격식을 차린다 . 비지니스 서식을 따른다 . 입사를 하면 신입사원 혹은 경력사원 교육에서 업무 처리와 관련된 사항으로 간단히 짚고 넘어간다 . 게다가 직장에서는 업무 메일을 보낼 때 , 직속 상사를 참조로 해서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사로부터 이메일 형식이나 표현에 대한 피드백을 받기도 한다 . 물론 상사들은 직접적 지적하지는 않는다 . 대신에 자신의 업무 메일에 부하직원이나 후배를 참조에 넣음으로써 모범사례를 보여주는 방식을 택한다 .   중국의 학생 모집 요강은 흥미로웠다 . 아무래도...

[113일][04월22일][365매일글쓰기] 숙제는 어려워

[113 일 ][04 월 22 일 ][365 매일글쓰기 ] 숙제는 어려워   중간시험 대신하는 중간과제는 어렵다 . 쉬운 과목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신경을 많이 써야만 해낼 수 있다 . 예전에 들었던 어떤 과목은 관련 도서를 읽거나 논문을 찾아서 분석해야만 했다 . 그때 고생고생해서 중간과제를 겨우 제출했고 , 그 이후로는 중간과제가 있는 과목은 피해왔다 . 그런데 ...... 어학과목에도 중간과제가 있었으니 , 그 과목은 바로 중한번역연습이다 .   중국어 원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저지르기 쉬운 실수들을 짚어주는 과목인데 , 꽤 들을만하다 . 다만 예문에 대한 잘못된 번역과 올바른 번역을 일일이 설명하기 때문에 따분하기 그지없다 . 1 시간내내 그리고 15 강내내 변화가 없는 강의이다 . 번역을 할 때는 문장 구조를 정확히 파악해서 문장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야만 한다 . 문장분석이 안되면 뜻을 제대로 알지 못하게 되고 번역도 꼬인다 . 게다가 신문기사나 보고서 등과 같은 문헌체는 단어가 쫌 어렵다 .   이 과목의 중간과제는 15 개의 문장을 바이두 ( 百度 ) 와 북경어언대학교 코퍼스에서 직접 찾아서 직역한 후 완역을 하라는 것이었다 . 바이두에서 이러저리 검색을 해보니 , 무척 막막했다 . 무얼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다 . 북격어언대학교 코퍼스 사이트에 가봤더니 , 단어로 검색하면 그 단어가 있는 문장들을 검색해주었다 . 그런데 복사가 안되었다 . 다시 바이두로 가서 고민을 해봤다 . 단어로 검색을 한 후 , 정보 ( 资讯 ) 탭에서 적당한 기사를 골라내었다 .   우선 다의어 그룹의 문장을 찾아서 번역하기로 했다 . 다의어는 우리말의 ‘ 손 ’ 처럼 여러 의미로 쓰이는 말이다 . “ 손에 땀이 찬다 ” 에서는 신체 부위를 뜻하고 “ 손이 부족하다 ” 에서는 일하는 사람 수를 뜻하고 , “ 할머니는 손이 크다 ” 에서는 씀씀이를 뜻한다 . 중국어에서 우리말의 ‘ 손 ’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