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위화인 게시물 표시

[022일][01월22일][365매일글쓰기] 퇴고미션 : 22일차 사람은 무엇인가

[022 일 ][01 월 22 일 ][365 매일글쓰기 ] 퇴고미션 : 22 일차 사람은 무엇인가 내가 쏘지 못한 이유는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 그 바지 때문이었다 . 나는 이곳에 ‘ 파시스트들 ’ 을 쏘기 위해 왔다 . 그러나 바지를 부여잡은 사내는 ‘ 파시스트 ’ 가 아니다 . 그는 당신과 꼭같은 동료인간일 뿐이었다 . 당신도 그를 향해 총을 겨누고 싶지 않을 것이다 . – 에세이 < 스페인내전을 돌이켜본다 > 중에서 1936 년 스페인은 사회주의 성향의 좌파 공화당이 정권을 잡고 있었다 . 1936 년 7 월 모로코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코 장군은 왕정제 복구를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 프랑코는 독일과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의 비호를 받았다 . 스페인 내전 초기에는 파시즘과 노동 계급간의 대결이었다 . 유럽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파시즘에 대항하기 위해 조지 오웰은 스페인 카탈로니아 바르셀로나로 갔다 . 의용군에 입대하고 전선에 투입되었다 . 파시스트 군대와의 대치 중에 의용군의 비행기가 나타났다 . 그러자 파시스트 측의 참호에서 반라의 병사 한 명이 바지를 부여잡고 파시스트 장교에게 뛰어갔다 . 조지 오웰은 200 미터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총을 쏴서 그 병사를 맞힐 수 있었다 . 하지만 그는 쏘지 않았다 . 왜일까 ? 우리는 살면서 끊임없이 편을 가른다 . 네 편과 내 편으로 나뉘어 서로 적대한다 . 심지어는 서로 목숨까지 빼앗는다 . 내 편에게는 한없이 너그럽다 . 설령 내 편이 잘못이나 죄를 저질러도 눈감아준다 . 왜냐하면 내 편이니까 . 반면에 상대 편에게는 잔인하게 군다 . 그들의 사소한 잘못조차도 눈감아주지 못하고 , 벼랑 끝으로 밀어붙인다 . 그런데 어느 순간 , 내 편을 적이라고 느끼게 된다 . 언제 그럴까 ?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인간에게서 비인간적인 측면을 발견했을 때이다 . 가치의 차이가 너무 커서 나와 함께 할 수 없다는 판단이 들면 , 더 이상 내 편이 아닌 적이 된다 . ...

[022일][01월22일][365매일글쓰기] 사람은 무엇인가

[022 일 ][01 월 22 일 ][365 매일글쓰기 ] 사람은 무엇인가 내가 쏘지 못한 이유는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 그 바지 때문이었다 . 나는 이곳에 ‘ 파시스트들 ’ 을 쏘기 위해 왔다 . 그러나 바지를 부여잡은 사내는 ‘ 파시스트 ’ 가 아니다 . 그는 당신과 꼭같은 동료인간일 뿐이었다 . 당신도 그를 향해 총을 겨누고 싶지 않을 것이다 . – 에세이 < 스페인내전을 돌이켜본다 > 중에서 스페인 내전이 일어나자 , 조지 오웰은 자기 돈을 써가며 스페인 민병대에 입대했다 . 파시스트와의 대치 중에 민병대의 비행기가 나타났다 . 그러자 파시스트 측의 참호에서 반라의 병사 한 명이 바지를 부여잡고 파시스트 장교에게 뛰어갔다 . 조지 오웰은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충분히 그 병사를 쏠 수 있었다 . 하지만 그는 쏘지 않았다 . 왜인가 ? 우리는 끊임없이 피아 ( 彼我 ) 를 가른다 . 니편과 내편으로 나뉘어 서로 적대한다 . 심지어는 목숨까지 빼앗는다 . 내편에게는 한없이 너그럽다 . 설령 내편이 잘못이나 죄를 저질러도 눈감아준다 . 왜냐하면 내편이니까 . 반면에 상대편에게는 잔인하게 군다 . 그들의 사소한 잘못조차도 눈감아주지 못하고 , 벼랑 끝으로 밀어붙인다 . 어느 순간 , 내편을 적이라고 느끼게 된다 . 언제 그럴까 ? 내편이라고 생각했던 인간에게 비인간적인 측면을 발견했을 때이다 . 가치의 차이가 너무 커서 나와 함께 할 수 없다는 판단이 들면 , 더 이상 내편이 아닌 적이 된다 . 반대로 적에게서 내편의 향기를 맡을 때도 있다 . 언제 그럴까 ? 적이 인간성을 드러냈을 때이다 . 우리는 외적 조건으로 피아를 구분하지만 , 진정한 피아는 내적 조건에 의해 자연스럽게 갈리게 된다 . 내적 조건의 기준은 바로 인간성이다 . 인간됨의 도리를 지키는 나와의 동질감이 느껴지면 , 적은 더 이상 적이 아니라 동료로 인식된다 . 외적으로는 나라가 달라서 , 민족이 달라서 , 인종이 달라서 , 계급이 달라서 등의 여러...

[090일][11월29일] 명작을 읽어야 하는 이유

[090 일 ][11 월 29 일 ][ 백일글쓰기 2] 명작을 읽어야 하는 이유 운 좋게도 잭 런던이 작가가 되려는 젊은이에게 쓴 편지를 읽게 되었습니다 . 그 편지에서 그는 바이런의 시를 한 행 읽는 것이 문학잡지 백 권 읽는 것보다 낫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 저는 금새 그 이치를 깨달았지요 . 시간과 정력을 문학잡지에 낭비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 아무리 뛰어난 문학잡지라 해도 , 그 잡지에 발표된 작품 가운데 50 년 , 백 년 뒤에는 여전히 읽힐 작품은 얼마 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었지요 . 별로 뛰어나지 않은 잡지라면 더 말할 것도 없고요 . 그때부터 저는 문학잡지를 읽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 대신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문화 유산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을 읽기 시작했지요 .- < 글쓰기의 감옥에서 발견한 것 我只知道人是什么 > 위화 余华 , 푸른 숲 어쩌다 우연히 오전에 오프라인서점을 방문하게 되었다 . 그래서 원서와 병행해서 읽을 번역서들을 찾아봤다 . 많은 사람들이 통속 소설이나 연애 소설을 읽고는 하는데 , 근래의 나는 이런 류의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 그래서 위화의 작품을 몇 가지 찾아봤다 . 몇 년 전에 < 허삼관매혈기 > 를 읽었는데 , 나의 취향과 비슷했다 . 다 읽고 나서 책장에 책을 꽂아 두어도 계속 내용이 생각났다 . 소설 속의 그 장면들을 다시 꺼내어 곱씹고는 했다 . < 형제 > 를 읽을까 ? < 인생 > 을 읽을까 ? 고민하다 이번에는 산문집을 읽어 보기로 했다 . 마치 바진 巴金 의 < 수상록 随想录 > 같은 느낌이었다 . 서점에 앉아 앞 부분을 조금 읽어봤다 . 위화는 글쓰기를 어떻게 보는지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 위화는 1960 년에 출생했다 . 문화대혁명이 1966 년부터 1976 년까지 지속되었고 , 이 시기에는 모든 지식이 부정당했다 . 지식이 되살아나지 못하도록 지식인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 어떤 이는 처형되었고 ,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