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90일][07월08일][365매일글쓰기] 나에게 중한번역연습이란

[190][0708][365매일글쓰기] 나에게 중한번역연습이란

 

중한번역연습을 듣기 전에는 되는대로 번역했다. 예를 들면 작년 가을학기에 중국현대문학작품선 과목에서 루쉰의 단편소설 <고향>을 원문으로 읽고는 짧은 독후감을 쓴 적이 있다. 거기에는 내가 한 번역이 포함되어 있다.

 

我想:希望是本无所有,无所无的。正如地上的路;其地上本有路,走的人多了,也便成了路。나는 생각했다. : 희망이란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마찬가지다. 실제는 땅 위에 길이란 원래 없는 것이다. 다니는 사람이 많아지면 곧 길이 된다. - <고향>, 루쉰

 

루쉰의 글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드러내고 싶어서 원문도 쓰고 나의 번역을 덧붙였었다. 이 독후감을 글쓰기 모임의 카페에 올리자 바로 그 다음 날 글쓰기 강사는 짧은 인용문을 게시했다.

 

"생각건대, 희망이란 원래부터 있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고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그것은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 원래 땅 위에는 길은 없었다. 걸어다니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길이 되는 것이다."(p55) - 서경식 <내 서재 속 고전> 중에서

 

나의 것과 확연히 다른 번역이었다. 나의 번역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나니 더 잘해내고 싶었다. 이것이 중한번역연습을 수강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이다.

 

1부를 들을 때에는 좌절감을 느꼈다. 나의 번역은 강의에 등장하는 오역과 똑 닮아 있었고 수정과 같은 번역을 해낼 수 없을 것만 같았기 때문이었다. 기가 꺾여 입이 댓 발이나 나왔다. 2부에 들어서자 번역을 잘 해낼 수 있겠다는 희망이 보였다. 아직까지는 긴가민가하는 수준이었지만 다음 차시가 궁금해졌다. 3부에 들어서자 흥이 폭발했다. “이렇게 번역하면 되는구나!”를 연신 외쳤다.

 

중간과제를 하기 위해서 바이두에서 신문기사들을 읽었는데 어학 공부도 되고 재미도 있었다. 학기가 끝나면 매주 한 편씩 번역해서 블로그에 올려볼 생각이다. 물론 처음에는 번역이 무척 어설프겠지만, 거듭하다 보면 점점 더 나아질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중한번역연습을 수강하길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피엔스 3일차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사피엔스 3 일차 제 1 부 인지혁명 3 아담과 이브가 보낸 어느 날 (70~101 페이지 ) 2019 년 8 월 5 일 월요일 # 사피엔스 # 함께읽기 # 숭례문학당 # 인지혁명 # 게걸스런유전자 #7 만년전부터 1 만년전까지 # 수렵채집위주생활 # 약 1000 만명인구 ▶ 오늘의 한 문장 현대인의 사회적 , 심리적 특성 중 많은 부분이 이처럼 농경을 시작하기 전의 기나긴 시대에 형성되었다 . 심지어 오늘날에도 우리의 뇌와 마음은 수렵채집 생활에 적응해 있다고 이 분야 학자들은 주장한다 . - 70 페이지

[034일][10월04일]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편

[034 일 ][10 월 04 일 ][백일글쓰기2]  넷플릭스 크리미널 영국 , 독일 , 프랑스 , 스페인편 넷플릭스를 가입하기 전에는 케이블 TV 에서 미드 ( 미국 드라마 ) 를 보고는 했다 . 유명한 미드는 여러 장르가 있는데 , 범죄스릴러 미드가 압도적으로 많다 . 미국의 각종 수사기관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범인을 잡는 장면은 시청자의 속을 후련하게 했다 . 정의가 실현되는 장면은 마치 어릴 적 읽었던 권선징악 ( 勸善懲惡 ) 동화들을 떠올리게 했다 . 비록 드라마이지만 ,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에 심리적 위안을 느낀 것이다 . 일종의 카타르시스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