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4차산업혁명인 게시물 표시

[144일][05월23일][365매일글쓰기] 자료조사 - 4차산업시대의 노동 환경 변화

[144 일 ][05 월 23 일 ][365 매일글쓰기 ] 자료조사 -   4 차산업시대의 노동 환경 변화   참고자료 : 황기돈 , “ 디지털화와 노동정책 ”, 경상논총 제 35 권 3 호 37~56 페이지 , 2017 년 9 월   디지털화는 아날로그 세계를 0 과 1 로 이루어진 이진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 아날로그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0 과 1 의 갯수와 조합이 달라지는데 , 아날로그와 유사해지려면 필요한 데이터의 양도 커져야 한다 . 과거에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한계로 디지털화된 세계가 작았지만 , 근래의 급격한 기술 발달로 점점 더 많은 영역이 디지털화 되고 있다 . 이것이 4 차산업혁명을 불러오는 근본 이유라 생각한다 .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다 . 검색을 할 때도 인공지능은 더 정확하고 더 빨리 검색 결과를 정리해서 보여주려고 한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구글의 인공지능은 한국화가 되어 있지 않다 . 그래서인지 최근 들어 구글의 검색 결과는 국내 포털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 따라서 한국내에서는 한국형 인공지능이 더 유리하다 . 아직 한국은 인공지능 기술이 적극 활용되고 있지 않다 . 그런 이유로 참고자료의 저자는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 변화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다 .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특징인 속전속결이 인공지능 기술에 적용되면 짧은 시간내에 인공지능은 중간 수준 숙련자들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다 .   학자들의 예측대로 미래가 점점 더 다가올 수록 직업 세계는 양극화될 것이다 . 소수의 고숙련 전문가들과 절대다수의 미숙련 혹은 저숙련 인력으로 양분될 것이다 .   따라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미숙련 혹은 저숙련 인력들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개되는 단기 노동인 긱 노동 (gig work) 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 예를 들면 , 우버나 배달앱이 디지털 플랫폼이고 , 여기에 등록되어 서비...

[142일][05월21일][365매일글쓰기] 자료 조사 - 독일 일자리 4.0

[142 일 ][05 월 21 일 ][365 매일글쓰기 ] 자료 조사 - 독일 일자리 4.0   참고자료 : 김성국 , “ 제 4 차 상업혁명과 독일의 ‘Arbeit 4.0’ 의 과제와 전망 ”, 유라시아연구 , 제 15 권 제 1 호 , 2018.3, pp 117~135   독일은 2011 년부터 4 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산업 4.0(Industrie 4.0) 을 진행 중이다 . 독일 내의 제조업을 인공지능이나 사물인터넷으로 연결시키는 디지털 혁신이 산업 4.0 의 핵심이다 . 공장에 로봇이 투입되고 센서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 이를 다시 로봇에 피드백하는 스마트 팩토리 (Smart Factory) 는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스마트 팩토리는 단순한 생산성의 향상을 넘어서 생산자과 소비자가 협업을 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재료와 사양이 반영된 제품을 저렴하고 신속하게 만들어낸다 .   4 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람 , 사물 , 인공지능 로봇이 하나의 체계 ( 시스템 ) 안에서 함께 일하게 되는데 , 이것은 새로운 노동 환경이기 때문에 인간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를 예측하기에는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 독일의 산업 4.0 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자 노동자들은 로봇과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을 우려할 수 밖에 없었다 . 독일 정부는 산업 4.0 과 병행해서 노동 4.0(Arbeit 4.0) 을 2015 년 발표했다 . 산업 4.0 의 핵심은 노동의 인간화 (Humanization of Work) 이다 . 과거 제 2 차 산업혁명 시대에 테일러리즘 (Taylorism) 으로 인해 지나치게 분업화됨으로써 인간을 소외시켰다 . 즉 , 인간이 거대한 시스템속에서 단순 기능만을 하게 하여 한낱 부속품으로 전락되어 결국 노동소외를 겪었기 때문이다 . 따라서 4 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인간이 소외되지 않는 기계시스템 ( 이것을 사회기술시스템이라 부른다 ) 을 구축하는 것이 일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