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 일 ][05 월 23 일 ][365 매일글쓰기 ] 자료조사 - 4 차산업시대의 노동 환경 변화 참고자료 : 황기돈 , “ 디지털화와 노동정책 ”, 경상논총 제 35 권 3 호 37~56 페이지 , 2017 년 9 월 디지털화는 아날로그 세계를 0 과 1 로 이루어진 이진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 아날로그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0 과 1 의 갯수와 조합이 달라지는데 , 아날로그와 유사해지려면 필요한 데이터의 양도 커져야 한다 . 과거에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한계로 디지털화된 세계가 작았지만 , 근래의 급격한 기술 발달로 점점 더 많은 영역이 디지털화 되고 있다 . 이것이 4 차산업혁명을 불러오는 근본 이유라 생각한다 .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다 . 검색을 할 때도 인공지능은 더 정확하고 더 빨리 검색 결과를 정리해서 보여주려고 한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구글의 인공지능은 한국화가 되어 있지 않다 . 그래서인지 최근 들어 구글의 검색 결과는 국내 포털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 따라서 한국내에서는 한국형 인공지능이 더 유리하다 . 아직 한국은 인공지능 기술이 적극 활용되고 있지 않다 . 그런 이유로 참고자료의 저자는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 변화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다 .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특징인 속전속결이 인공지능 기술에 적용되면 짧은 시간내에 인공지능은 중간 수준 숙련자들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다 . 학자들의 예측대로 미래가 점점 더 다가올 수록 직업 세계는 양극화될 것이다 . 소수의 고숙련 전문가들과 절대다수의 미숙련 혹은 저숙련 인력으로 양분될 것이다 . 따라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미숙련 혹은 저숙련 인력들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개되는 단기 노동인 긱 노동 (gig work) 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 예를 들면 , 우버나 배달앱이 디지털 플랫폼이고 , 여기에 등록되어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