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한자인 게시물 표시

[138일][05월17일][365매일글쓰기] 대나무나 식물 줄기 등을 얽어 만든 바구니에서 시작되다

[138 일 ][05 월 17 일 ][365 매일글쓰기 ] 대나무나 식물 줄기 등을 얽어 만든 바구니에서 시작되다   단어 하나를 오랫동안 들여다보면 , 친해지게 된다 . 나태주 시인의 < 풀꽃 > 에 한 귀절인 “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 가 실감나는 요즘이다 . 나는 한자를 잘 모른다 . 그래서 중국어 단어를 외우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그래서 택한 것은 어려운 한자를 오래오래 쳐다보는 것이다 . 사전도 찾아보고 , 문헌도 찾아보면서 이해될 때까지 보고 또 보기로 했다 . 이 방법은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알아가는 즐거움을 준다 .   涌现 은 ‘( 사람이나 사물이 ) 대량으로 나타나다 ’ 는 뜻이다 . 涌 은 샘솟을 용으로 湧로도 쓴다 . 现 은 나타날 현現의 간체자이다 . 물이 샘 솟듯이 나타나니 ‘ 분수처럼 분출된다 ’ 는 뜻도 된다 . 용 涌 이 생소했다 . 그래서 자세히 들여다 봤다 .   涌 은 用에서 시작된 글자이다 . 用의 한자사전을 보면 여러 뜻이 있다 . 그러나 한자 사전은 用을 이해하는 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 집에 있는 한자 관련 책들을 뒤적여봤다 . 用은 대나무나 나무줄기를 엮어서 만든 격자 무늬의 바구니라고 한다 . 요즘 흔히 보이는 라탄 바구니를 떠올리면 된다 . 아니면 얇은 대나무를 엮어 만든 바구니 등을 떠올려도 된다 . 갑골문에 나타난 用은 아래와 같다 . 출처 : 바이두 https://baijiahao.baidu.com/s?id=1661959925960730822&wfr=spider&for=pc 이 글자는 그릇 혹은 도구를 뜻했다 . 나중에 의미가 확장되어 도구를 쓰다 , 일하다가 되었다 . 현재는 쓸 용 ( 用 ) 으로 통용된다 . 블로거 중에 대나무로 닭장을 만드는 과정을 올린 사람이 있었다 . 블로거가 올린 사진의 대나무가 얽혀있는 모양과 갑골문의 用을 비교해 보면 비슷하다 . ( ...

[134일][05월13일][364매일글쓰기] 언제 다 외우나

[134 일 ][05 월 13 일 ][364 매일글쓰기 ] 언제 다 외우나   이번 학기에 새로 나온 중국어 단어의 목록을 만들고 있다 . 아직 일부만 정리되었을 뿐인데 , 벌써 1,000 개에 육박하고 있다 . 탄식이 저절로 나온다 . “ 언제 다 외우나 ?” 도대체 이 단어는 왜 이런 뜻인가 ? 어떤 단어는 아무리 해도 외워지지 않는다 . 좌절감에 책상에 엎드려 한숨을 내쉬어 본다 . 그러다 불현듯이 주먹 불끈 쥐고 외쳐본다 . “ 반복하면 언젠가는 다 외워질거야 !” 단어 목록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읽기 시작한다 . 얼마 지나지 않아 한숨을 쉬고 포기한다 . “ 길어도 너무 길잖아 !”   지금 듣는 과목 중에 < 중국어 듣기 연습 1> 이 있다 . 나는 이 과목을 좋아한다 . 처음 들을 때는 뭔 말인지 하나도 알아들을 수 없는데 강의가 끝날 즈음에는 거진 다 알아들을 수 있게 된다 . 이 때문에 강한 성취감을 느끼게 되고 더 열심히 공부하게 만든다 . 이 과목의 매력은 이뿐만이 아니다 . 교수님이 새로 나온 단어를 설명할 때는 교수님에게서 후광이 비추는 듯하다 . 단어를 이루는 각 글자의 뜻을 설명해서 새로 나온 단어를 기억하기 쉽게 하기 때문에 , 교수님은 하늘에서 내려온 천사같다 . 입문자에게 가르치듯이 차근차근 설명해줄 때 교수님은 매력 뿜뿜이다 . 본문 해설할 때는 또 어떤가 ! 혹시 성조를 헷갈릴까봐 병음 표기도 해주시고 , 어법도 하나하나 짚어주신다 . 또 한 번 반하게 된다 . 중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교수님의 설명은 반복 학습 효과를 준다 . 다시 들음으로써 , 더 오래 기억하게 된다 . “ 고학년이 되어서 그것도 모르냐 ?” 보다 효과는 백배 천배 좋다 .   코로나 19 로 출석수업을 할 수 없게 되자 각 과목은 출석수업시험을 보는 대신 과제물을 내주었다 . < 중국어 듣기 연습 1> 의 과제를 듣자마자 내 눈에서는 하트가 뿜뿜했다 . 과제는 교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