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일 ][12 월 31 일 ][ 백일글쓰기 2] 극기 ( 克己 ) 극 ( 克 ) 은 머리 ( 口 ) 에 투구 ( 十 ) 를 쓴 사람 ( 儿 ) 이 그 무게를 이겨내다 또는 어깨에 무거운 짐을 메고 오래동안 ( 古 ) 견뎌내는 사람 ( 儿 ) 의 모양을 딴 글자로서 ‘ 이기다 ’, ‘ 매다 ’ 의 뜻을 가진다 . 기 ( 己 ) 는 사람의 척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로 ‘ 사람의 몸 ’ 혹은 ‘ 자기 ’ 를 뜻한다 . 그러므로 극기는 ‘ 자기를 이겨낸다 ’ 로 풀이될 수 있다 . 그런데 뭘 이겨내는 것일까 ? 내 안의 욕심 , 휘몰아 치는 감정을 이겨내야 한다 . *) 한자 풀이는 한자신문의 설문해자 칼럼을 참조 사람의 정신은 몸 안에 갇혀 있다 . 그러다 보니 자꾸만 자기 위주로 생각하게 된다 . 자기 자신의 관점에 얽매이게 되면 치우치게 된다 . 마음이 치우치면 감정이 격해지기 마련이다 . 지나치게 화를 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게 되면 몸 또한 감정에 삼켜지게 된다 . 예를 들어 , 극도로 화가 나면 몸을 부들부들 떨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 그렇다면 감정이 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 지점까지만 화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고 싫어하고 있다면 감정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 그래서 고대부터 많은 사람들이 ( 예를 들어 ) 화가 날 상황일 때는 화를 내지만 딱 그 상황에 알맞은 정도로만 화를 내기 위한 공부를 했고 하고 있다 . 나는 이것이 바로 극기라고 생각한다 . 홀로 책을 읽으며 공부할 때에는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아 있어서 편안하다 . 그러나 집 안이든 집 밖이든 사람들과 어울리는 순간부터 사건 ( 일 ) 들이 발생하게 된다 . 어떤 사건은 아무런 감정도 일으키지 않는다 . 또 어떤 사건은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 갈등을 일으킨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의 감정이 소용돌이치게 된다 . 이때가 공부의 최적 시기이며 그 사건이 공부의 최적 장소이다 . 갈등 상황에서의 극기가 진짜 공부이다 . ( 육징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