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맹자인 게시물 표시

[098일][04월07일][365매일글쓰기] 인의(仁義)와 이익(利)

[098 일 ][04 월 07 일 ][365 매일글쓰기 ] 인의 ( 仁義 ) 와 이익 ( 利 )   오늘부터 삼국지 2 권을 읽기 시작했다 . 2 권 앞부분의 두 장은 가슴 답답한 내용이 가득했다 . 오늘 읽었던 부분에서는 각자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느라 인의 ( 仁義 ) 를 저버렸기 때문이다 .   인 ( 仁 ) 이 무엇이던가 ? 인간을 짐승이 아닌 인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인 ( 仁 ) 을 무어라 딱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무척 어렵지만 , 대강을 이야기하자면 남을 아끼는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 이기심 ( 利己心 ) 을 버리고 이타심 ( 利他心 ) 을 갖는 것이다 . 의 ( 義 ) 는 무엇인가 ?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 마땅히 해야 할 일이란 자신이 속한 집단 ( 사회 ) 이 잘 운영되고 발전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이다 . 비록 내가 힘들더라도 혹은 나에게 이득이 되지 않더라도 , 집단에 유익하거나 이득이 된다면 기꺼이 해야 하는 것이 의 ( 義 ) 이다 . 인의 ( 仁義 ) 가 없으면 , 인간은 짐승과 다를 바 없다 . 자기 자신의 편함과 영욕을 위해 서슴없이 남을 해치게 된다 .   동탁이 죽자 동탁의 부하였던 이각과 곽사가 정권을 잡는다 . 이 둘은 서로 더 좋은 위치에 서기 위해 경합하다가 결국 황제 ( 헌제 ) 와 대신들은 각각 볼모로 삼고 서로 싸운다 . 그들은 왜 황제가 필요했던가 ? 황제를 차지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함이었다 . 중국 세계관에서는 황제는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 . 그래서 천자라고도 한다 . 천자는 중원을 통일하고 다스려야 한다 . 그러나 어린 황제는 즉위와 동시에 나라를 다스리는 일보다는 이용당하기만 했다 . 제후들이 인의를 져버리고 이익만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 황제는 있으나 다스림은 없는 한 ( 漢 ) 은 망한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 .   그러면 왜 한 ( 漢 ) 나라의 국운이 쇠했을까 ? 원인은 헌제의 아버지였던 영제와 헌...

[021일][09월21일] 보다, 보게 하다(觀)

[021 일 ][09 월 21 일 ][ 백일글쓰기 2] 보다 , 보게 하다 ( 觀 ) # 연금술사 # 백일글쓰기 # 숭례문학당 # 주역 # 관괘 # 맹자 # 진심 孟子曰 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 공자께서 동산에 올라 내려다보시고는 노나라가 작다고 하셨고 , 태산에 올라 내려다보시고는 천하가가 작다고 하셨다 . 故觀於海者 難爲水 遊於聖人之門者 難爲言 그러므로 바다를 본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려워하고 , 성인의 문하에서 배운 사람은 학문을 말하기 어려워한다 . 觀水有術 必觀其瀾 日月有明 容光必照焉 물을 보는 데에도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결을 봐야 하고 , 해와 달의 밝음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곳은 반드시 비춘다 . 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君子之志於道也 不成章不達 흐르는 물이라는 것은 웅덩이를 다 채우지 않으면 나아가지 않으니 , 군자가 도에 뜻을 두게 되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드러내지 않는다 . - < 맹자 > 진심 상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