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나는왜쓰는가인 게시물 표시

[106일][12월15일] 나는 왜 쓰는가

[106 일 ][12 월 15 일 ][ 백일글쓰기 2] 나는 왜 쓰는가 나는 왜 쓸까 ? 여러 차례 이 질문이 백일글쓰기 카폐에서 제기되어 왔었어요 . 글을 쓰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묻고 거기에 답하는 글들도 여러 번 등장했었지요 . 어떤 사람은 소설가가 되고 싶어서 , 어떤 사람은 생각이 넘쳐 정리가 필요해서 , 어떤 사람은 더 잘 쓰고 싶어서 , 어떤 사람은 자신의 하루하루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서 , 어떤 사람은 일상을 좀 더 가치 있게 만들고 싶어서 등 . 다양한 욕구가 있었어요 . 그러면 나는 왜 ? 나는 별로 쓰고 싶지 않았어요 . 외울래 쓸래 ? 하면 외우는 것을 택했지요 . 쓰는 일에 대한 저항감이 무척 컸었는데 , 쓰는 것뿐만 아니라 의견을 말하는 것도 싫어했어요 . 어렸을 적부터 시녀나 무수리과에 속했던 터라 입을 꼭 다물고 잘 들어주는데 익숙했거든요 . 몇 년 전까지도 그랬어요 . 엄마들 중에 독보적인 존재를 주위로 몰려다녔거든요 . 저는 당연히 독보적인 존재는 아니였죠 .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어요 . 그 중에 가장 큰 원인은 바로 학교 교육이죠 . 수업 중에 질문하면 안되거든요 . 잘 듣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했고 , 그래야 성공할 수 있었지요 . 게다가 나의 중학 시절은 1212 쿠테타 직후에 시작되었어요 . 그러니 학교는 학생들을 붙잡아 두는 곳이 였고 , 자기 의견을 말해서는 안되는 곳이었어요 . 그렇게 길들여진거죠 . 착한 시민인 나는 글을 많이 썼어요 . 주로 계획서와 보고서를 썼지요 . 일을 원활히 진행하게 하기 위해 꼭 필요한 문서들을 만드는 일을 아주 오랫동안 해 왔어요 . 그런 류의 글은 의견이 필 요없어요 . 사실을 잘 정리하고 평가기준까지만 제시하면 의견은 윗 사람들이 해주지요 . 그러니 의견을 낼 필요가 없는거예요 . 회사도 의견 따위는 없는 말 잘 듣는 직원을 더 원했지요 . 내가 속한 기술 부문은 뭐든 해낼 수 있는 곳이예요 . 그런데 뭘 해내야 하냐면 , CEO 가 원하...

[105일][12월14일] 조지 오웰이 휴양지에서 본 것

[105 일 ][12 월 14 일 ][ 백일글쓰기 2] 조지 오웰이 휴양지에서 본 것 조지 오웰의 산문집 < 나는 왜 쓰는가 > 에는 총 29 편의 산문 (Essay) 가 수록되어 있다 . 수많은 산문 중에 특별히 고른 29 편은 한 편 한 편이 모두 보석처럼 빛이 난다 . 산문은 소설과 달리 작가의 본연의 모습을 투영한다 . 마치 작가가 내 앞에서 자신의 생각을 조곤조곤 이야기해주는 듯하다 . 나는 이 산문집은 사흘에 걸쳐 300 페이지까지 읽었다 . 초기 작품은 마치 단편 소설 같았다 . 어떻게 산문을 소설처럼 쓸 수 있을까 ! 나의 글쓰기와 너무나 비교되어서 부끄러워 내 자신에게 화가 났다 . 차근차근 한 편씩 읽어 보니 , 조지 오웰은 산문일지라도 오랜 기간에 걸쳐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다듬고 또 다듬은 작품들이었다 . 산문집의 제목은 1946 년 발표한 < 나는 왜 쓰는가 Why I Wirte> 라는 에세이에서 왔다 . 짧지만 강렬한 문장이었다 . 이 에세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오늘은 < 마라케시 > 라는 에세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다 . 그의 산문 중에서 < 교수형 > < 코끼리를 쏘다 > < 스페인의 비밀을 누설하다 > < 민족주의 비망록 > < 나는 왜 쓰는가 > 는 많은 사람들이 언급할 정도로 유명하다 --- 이들 에세이에 대해서도 한 편씩 다뤄보려 한다 . 그런데 나는 < 마라케시 > 에서 더 큰 울림을 느꼈다 . 이 작품을 통해 조지 오웰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른 작가들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렇기 때문에 그의 작품이 지금까지도 읽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보통 사람들은 휴양지에 도착하면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을 본다 . 그리고는 마치 지상낙원인 것처럼 찬양할 것이다 . 조지 오웰이 본 것은 휴양지가 아닌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었다 . 그렇다고 모로코에 사는 유색 인종들을 백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