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1 일 ][11 월 30 일 ][ 백일글쓰기 2] 작은 집 Tiny House 얼마전 우리나라에서 불고 있는 협소주택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 수평으로 배열된 주거 공간을 좁은 땅 위에 층층이 쌓아올린 형태이다 . 협소주택은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지에 주로 등장한다 . 일본의 도쿄 , 캐나다의 토론토 , 한국의 서울 등에서 발견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대지 면적은 15 평이하인 대지에 협소주택을 짓는다 . 건축법에 따라 대지면적의 60 퍼센트에만 집을 지을 수 있어서 , 각 층은 실평수 9 평 ~5 평 정도된다 . 건물의 연면적이 27~20 평이 되면 필수 생활 공간이 들어설 수 있다 . 땅이 넓은 지역에서는 컨테이너나 대형버스를 재활용한 작은 집 (Tiny House) 이 자주 등장한다 . 한적한 교외에 전기 , 상수 , 하수를 연결한 독창적인 집들은 볼 때마다 놀랍다 . 캠핑카의 제한된 생활공간을 좀 더 넓힌 개념이라 할 수 있다 . 주로 젊은 사람들이 주택구입비를 절약할 목적으로 1 년 ~2 년에 걸쳐 직접 집을 지었다 . 처음에 등장한 작은 집들은 무척 저렴한 비용을 들여 만들어졌다 . 어떤 대학생은 1,500 미국 달러 ( 한화 약 1,770 만원 ) 으로 대학 근처에 자기만을 위한 집을 갖게 되었다 . 길이 8 미터 폭 2 미터의 컨테이너를 개조한 이 집은 SUV 차량으로 견인할 수 있다 . 캠핑카에서 진화한 모습이었다 . 그는 이 집을 대학근처 숲 한 가운데 세워두고 통학한다 . 이 집의 단점은 전기 , 상수 , 하수를 자체 처리해야 한다는 점이다 . 어쩌면 학생이기 때문에 가능한 구조일 것이다 . College Student Builds Outstanding DIY $15,000 Tiny House For Debt Free Living https://youtu.be/ougUWPUvgD8 by Living Big In A Tiny House 그러다가 2 인 가족을 위한 근사한 작은 집들이 등장했다 .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