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일 ][01 월 11 일 ][365 매일글쓰기 ] 필사 : 그림자 < 칼 구스타프 융 , 언제나 다시금 새로워지는 삶 > 167~168 페이지 , 신근영 , 북드라망 매일같이 밖의 세계에만 눈을 돌리던 자아 . 이 자아에게 정작 자기 자신은 어두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 그것은 언제나 익숙하게 보아왔던 것들과는 너무나 다른 타자로서 출현한다 . 자기 내면의 이런 타자와 마주친 자아는 타자를 잘 알아볼 수 없다 . 그래서 자아에게는 타자의 모습이 희미하고 어두운 형체로 밖에는 인식되지 않는다 . 이것이 자아가 처음 만나게 되는 타자 . ‘ 그림자 ’ 다 . 그림자는 인격의 열등한 부분이다 . 그래서 자아는 자신의 그림자가 투사된 사람을 만나면 이유 없이 싫은 감정을 느낀다 . 그러나 그것은 평소에 드러나지 않던 자신의 뒷모습이다 . 그림자를 이루는 내용들이 뒷면으로 밀려난 것은 가치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 단지 자아가 이런저런 이유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일 뿐 , 이 역시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이다 . 그렇기에 의식보다 못한 것이 아니라 아직 의식화하지 못했다는 의미에서 열등한 인격이다 . 그럼에도 열등하다는 말이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고 , 융은 이를 피하기 위해 그림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이런 그림자를 만나면 자아는 불쾌해진다 . 여태껏 다른 사람에게서 보았던 , 마음에 들지 않던 면을 바로 자기 마음속에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 게다가 그런 무의식이 자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에 더욱 기분이 나빠진다 . 요컨대 , 무의식 앞에서 자아는 자신이 더 이상 주체가 아님을 알게 된다 . 그림자 속의 “ 나는 일상의 의식에서는 항상 객체를 가지고 있는 주체이지만 그와는 완전히 반대로 나는 모든 주체들의 객체이다 .” 자아는 자신의 무력함을 느끼고 이 그림자를 만나기를 두려워한다 . 이런 것들을 느끼기 싫어서 자아는 의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만 이 타자와의 마주침은 피할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