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찰스디킨스인 게시물 표시

[017일][01월17일][365매일글쓰기] 찰스 디킨스

[017 일 ][01 월 17 일 ][365 매일글쓰기 ] 찰스 디킨스 디킨스는 사회에 대해 비판할 때마다 늘 구조보다는 정신의 변화를 지적하는 것처럼 보인다 . 디킨스에게 분명한 해결방안을 밝히라고 요구해봐야 별 소용이 없으며 정치적 신조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 디킨스의 접근방식은 늘 도덕적 차원에 있으며 , 스트롱의 학교가 크리클 학교와는 “ 선과 악의 거리만큼 ” 딴판이었다고 말한 대목에 그의 태도가 충분히 요약되어 있다 . 두 학교는 매우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완전히 다르다 . 천국과 지옥은 같은 곳에 있다 . ‘ 마음의 변화 ’ 가 없는 ‘ 제도의 변화 ’ 는 소용없다 . 이것이야말로 본질적으로 디킨스가 늘 말하고자 하는 바였다 . - < 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 > 41 페이지 , 조지 오웰 , 이론과 실천 조지 오웰은 찰스 디킨스를 비평하면서 , 디킨스의 작품 어디에도 건설적인 제안은 들어 있지 않고 , 내부는 공격하지만 대안을 내놓지 않는다고 했다 . 또한 “ 디킨스가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고 싶어 한다거나 , 기존 질서가 무너질 경우 많은 것이 달라지리라고 믿는 뚜렷한 징후는 없 ” 다고 설명한다 . 그 이유로는 “ 실제로 디킨스의 비판 대상은 사회가 아니라 ‘ 인간 본성’이기 때문 ” 이라고 보았다 .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은 이렇다 . 찰스 디킨스 1812~1870 와 조지 오웰 1903~1950 은 다른 세기를 살았다 . 영국이 인도를 식민 지배한 시기가 1859~1948 년인데 , 찰스 디킨스가 살았던 시대에는 영국의 경제력과 군대의 위용이 대단했을 것이다 . 경제가 활황인 시대였다 . 반면 조지 오웰의 시기는 영국의 힘이 사그라지고 있었던 시기였다 . 그동안 너무 평안했던 것이 국가 경쟁력을 떨어뜨렸을 것이다 . 추론해 보자면 , 찰스 디킨스의 인생은 초기의 어려움을 제외하고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웠을 것이다 . 그러나 국가의 힘이 갑자기 커지는 시기에는 여러 부조리가 부각되기 마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