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일 ][12 월 20 일 ][ 백일글쓰기 2] 빛 좋은 개살구 조지 오웰의 < 버마시절 > 은 1920 년대의 버마 식민지 전초기지인 카우크타다를 배경으로 식민지 지배자 답지 못했던 플로리라는 백인 나으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 플로리는 15 년간 버마에서 목재회사의 회사원으로 살았다 . 그는 얼굴의 한 쪽을 차지하는 푸르스름한 모반으로 인한 콤플렉스가 있는 외로운 사람이었다 . 모반이 그의 불행의 원천이었다 . 플로리는 35 세의 독신이고 많지 않은 월급이지만 하인들과 원주민 애인을 두는 풍족한 버마의 삶을 산다 .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밀림 속에서 목재를 자르고 나르는 일을 감독하는 고된 일을 한다 . 그리고 플로리는 백인이기 때문에 당연히 백인 나으리들의 클럽 멤버이다 . 따라서 버마인들은 그를 항상 똑똑하고 항상 힘세며 항상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우월한 종족 , 백인 나으리로 인식한다 . 하지만 플로리는 안다 . 그는 하찮은 인간일 뿐이다 . 그가 영국에 있었다면 , 그의 처지는 원주민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 그래서 플로리는 원주민들과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모두 다 같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 플로리의 이러한 사고는 다른 백인 나으리들과의 갈등의 원인이 된다 . 버마에 있는 백인 나으리들은 인도인 , 버마인 등의 원주민들을 인간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 그들에게 원주민은 두 가지로 나뉜다 . 백인 나으리들에게 우호적이고 돕는 착한 원주민과 짐승보다 더러운 그냥 원주민이다 . 하지만 백인 나으리들의 수는 극소수이다 . 그래서 백인 나으리들은 원주민들을 두려워한다 . 원주민의 폭동은 언제 어디에나 도사리고 있는 폭탄과 같은 것이었다 . 그렇기에 백인 나으리들은 원주민들을 더 무시했고 더 증오했다 . 백인 나으리들은 버마에서는 지배계층으로서의 삶을 살고 있지만 , 영국인으로서의 그들의 실제 모습은 원주민과 다를 바가 없다 . 그래서 버마에서의 백인 나으리들은 빛 좋은 개살구와 같다 . 버마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