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모사가후인 게시물 표시

[103일][04월12일][365매일글쓰기] 모사 가후

[103 일 ][04 월 12 일 ][365 매일글쓰기 ] 모사 가후   삼국지 ( 삼국지연의 ) 에는 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 조조 , 유비 , 손권과 같은 주요 인물에 대해서는 자세히 묘사되지만 , 주변 인물들은 주요 인물과 연관될 때만 잠깐잠깐 등장하고는 한다 . 어떤 이는 잠깐 등장하고는 사라져 버린다 . 또 어떤 이는 사건의 맥락마다 등장한다 . 모사 ( 謀士 ) 가후 ( 賈詡 ) 는 삼국지의 초기부터 등장해서 끝까지 가는 신비로운 인물이다 . 참고로 모사란 책사 ( 策士 ) 로서 사전적 정의는 ‘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 ’ 이다 .   황제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황제 ( 헌제 ) 를 세운 동탁이 죽은 후 , 동탁이 아끼던 부하였던 이각 , 곽사 , 장제 , 번조는 앞날을 걱정한다 . 이때 가후가 삼국지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   이각의 실망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 “ 아무래도 용서받긴 틀린 모양이니 이대로 앉아 죽음을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는 일 , 각기 흩어져서 살 길을 찾는 수밖에 없겠소이다 .” 이각의 말에 모사 가후가 고개를 젓는다 . “ 여러분이 군사를 버리고 뿔뿔이 흩어진다면 일개 정장 ( 亭長 ) 이라도 공들을 능히 붙잡을 수 있을 거요 . 공들이 각자 흩어져서 살 길을 찾는다는 것은 , 섬서 사람들을 설득하여 본부의 남은 군사들과 함께 장안으로 쳐들어가 동탁의 원수를 갚느니만 못하오 . 그렇게 해서 만일 일이 잘 되면 조정을 받들어 천하를 바로잡게 되는 것이고 , 실패할 경우 그때 도망쳐도 늦지 않을 것이외다 .” - < 삼국지 1 권 > 216 페이지 , 나관중 지음 , 황석영 옮김 , 창비   가후의 조언으로 이각과 곽사 무리는 장안으로 쳐들어가 정권을 장악한다 . 다시 황제 ( 헌제 ) 는 동탁의 잔당 무리의 손에 떨어지게 된다 . 가후의 말 한마디로 인해서 한나라는 다시 한 번 큰 혼란에 빠진 것이다 .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