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글쓰기의감옥에서발견한것인 게시물 표시

[090일][11월29일] 명작을 읽어야 하는 이유

[090 일 ][11 월 29 일 ][ 백일글쓰기 2] 명작을 읽어야 하는 이유 운 좋게도 잭 런던이 작가가 되려는 젊은이에게 쓴 편지를 읽게 되었습니다 . 그 편지에서 그는 바이런의 시를 한 행 읽는 것이 문학잡지 백 권 읽는 것보다 낫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 저는 금새 그 이치를 깨달았지요 . 시간과 정력을 문학잡지에 낭비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 아무리 뛰어난 문학잡지라 해도 , 그 잡지에 발표된 작품 가운데 50 년 , 백 년 뒤에는 여전히 읽힐 작품은 얼마 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었지요 . 별로 뛰어나지 않은 잡지라면 더 말할 것도 없고요 . 그때부터 저는 문학잡지를 읽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 대신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문화 유산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을 읽기 시작했지요 .- < 글쓰기의 감옥에서 발견한 것 我只知道人是什么 > 위화 余华 , 푸른 숲 어쩌다 우연히 오전에 오프라인서점을 방문하게 되었다 . 그래서 원서와 병행해서 읽을 번역서들을 찾아봤다 . 많은 사람들이 통속 소설이나 연애 소설을 읽고는 하는데 , 근래의 나는 이런 류의 글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 그래서 위화의 작품을 몇 가지 찾아봤다 . 몇 년 전에 < 허삼관매혈기 > 를 읽었는데 , 나의 취향과 비슷했다 . 다 읽고 나서 책장에 책을 꽂아 두어도 계속 내용이 생각났다 . 소설 속의 그 장면들을 다시 꺼내어 곱씹고는 했다 . < 형제 > 를 읽을까 ? < 인생 > 을 읽을까 ? 고민하다 이번에는 산문집을 읽어 보기로 했다 . 마치 바진 巴金 의 < 수상록 随想录 > 같은 느낌이었다 . 서점에 앉아 앞 부분을 조금 읽어봤다 . 위화는 글쓰기를 어떻게 보는지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 위화는 1960 년에 출생했다 . 문화대혁명이 1966 년부터 1976 년까지 지속되었고 , 이 시기에는 모든 지식이 부정당했다 . 지식이 되살아나지 못하도록 지식인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 어떤 이는 처형되었고 , 어떤 ...